[건강칼럼] 박성규 예올한의원 원장·한의학 박사
역사상 처음으로 중국을 통일한 진시황이 불로장생을 꿈꿀 때 서복은 불로초를 구해오겠다는 희대의 사기극을 벌인다. 물론 불로초가 있을 리 없으니 헛되이 진시황만 많은 재물을 잃었다. 탐욕이 사기를 부른다는 것은 고래로 수없이 입증된 사실이다.
진시황이 갈구하던 불로초와 별개로 동아시아에서 불로초라 여겼던 한약재가 있었으니 바로 산삼이다. 산삼은 생긴 모양이 사람을 닮았다 하여 본래 인삼이라 했는데 조선 중기부터 재배가 가능해지면서 구분을 위해 산삼과 인삼으로 나뉘게 된다. 산삼은 오래된 지질에서 산의 정기를 얻어 자라는데 주로 만주와 한반도에서만 서식하였다. 오랜 기간 무분별한 채취로 이제 산삼은 찾아보기 어렵다.
불로초에 버금가는 효능이 있다고 인식되었기에 동아시아에서는 예로부터 가장 귀중한 한약재로 취급되었다. 조선이 중국에 보낸 공물 중에 단연 가장 중요한 물품이기도 했고 금은처럼 사신들이 화폐 대용으로 사용하기도 했다. 특히 일본에서는 기사회생의 명약으로 인식되어 조선 중기 세계적인 은 생산국이었던 일본은 최고 품질의 은을 준비하여 인삼과 교환하였다. 일본에서 생산되던 은 상당분이 인삼과 교환되어 조선 경제의 한 축을 담당하였고 일본은 인삼 재배 비법을 얻고자 각고의 노력을 했던 것이 조선 통신사 기록에 남아있다.
인삼은 양기를 돋우는 성질이 강한 약재이다. 몸에 불기운을 돋우는 역할을 하기에 몸이 찬 사람에게는 보양의 효능이 있으나 열이 있는 사람에게는 부작용이 생긴다. 체질이 맞는 사람도 소수에 불과하며 행여 체질이 맞더라도 특정 병증이 있는 경우 오히려 역효과가 생긴다. 따라서 체질과 병증에 맞춘 처방을 통해 흡수하지 않는 한 몸에 해로울 수밖에 없다. 특히 열이 많은 양인의 경우 다양한 질환이 쉽게 유발되는데 어린이나 노약자가 복용하는 경우 사지가 뒤틀리고 뇌 손상을 입는 일들도 왕왕 발생하였다.
고려말에 이르러 부작용에 시달리는 사람들이 많아져 인삼에 대한 인식이 악화되자 인삼판매상들은 부작용을 경감하여 판매를 늘리고자 홍삼을 가공했다. 약효가 집중되어있는 잔뿌리는 모두 제거하고 주로 몸통을 이용하는데 이 또한 찌고 말리는 작업을 반복하여 약효를 둔화시킨다. 이렇게 변신한 홍삼은 인삼에 비해 약효가 매우 약하므로 체질과 병증이 맞지 않더라도 부작용이 거의 나타나지 않거나 천천히 나타나게 된다.
이로부터 장사꾼들이 홍삼은 체질에 상관없이 좋은 한약이라고 선전하면서 대중을 기만한 지 오래되었다. 약효는 둔화되어 체질에 맞더라도 큰 효과를 보기 어렵고 체질에 맞지 않는 경우 오래 복용하면 약독이 축적되어 심한 부작용을 겪게 된다. 특히 현대에 이르러 스트레스와 식적 등으로 체내에 독소가 축적되어 인삼이나 홍삼을 남용하는 것은 두루 해롭게 되었다. 홍삼이 우리 역사에 등장한 지 오래이나 정통 한의학 처방에서는 사용된 적이 없다. 조선 한의학의 정수인 ‘동의보감’에서도 사용 흔적이 없다.
홍삼이 국내 시장을 목표로 하면서 대표적인 보약이며 만병통치약인 양 선전되었고 대중매체에 몰입된 우매한 사람들이 홍삼을 찾으면서 폭발적인 인기를 누리고 있다. 위에서 살펴보았듯이 홍삼이나 관련 상품은 효능이 없거나 많은 경우 부작용을 유발한다. 인삼이 불로초가 아니듯이 홍삼도 만병통치약이나 누구한테나 좋은 보약이 아니다. 체질에 상관없이 누구한테나 좋은 보약은 우리의 전통 밥상뿐이다. 이전 칼럼에서 설명하였듯이 우리의 전통 밥상은 고조선 때부터 한의학의 검증과 처방을 받아 만들어 온 것이다. 평소에는 우리의 밥상으로 건강을 지키고 몸에 이상이 발생하면 한의원에 방문하여 체질과 병증에 맞게 침 뜸 한약으로 치료를 받는 것이 가장 현명한 건강 돌봄이다.
불로초나 만병통치약은 존재하지 않는다. 병들고 늙는 것은 모든 생명체가 겪는 현상이며 보다 건강하게 삶을 유지하려면 무지에서 벗어나 현명해져야 한다. 일상을 통한 노력 없이 건강하고자 하는 것은 무지와 탐욕이며 이러한 무지와 탐욕은 현대 서복들에게 건강과 재물을 바칠 뿐이다. 건강의 관건은 나와 나의 일상에 있으며 오랜 역사를 통해 축적된 우리 문화는 명확하게 왕도를 제시하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