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불어민주당 충북도당의 내분이 증폭되고 있다. 내분을 촉박시킨 건 ‘임정수 리스크’였다.
지난 17일 78회 청주시의회 임시회에서 진행된 의회운영위원장 표결 결과는 민주당에겐 충격이었다.
임 의원이 지난해 말 당론을 어기고 청주시청 본관동 철거를 둘러싼 갈등에서 국힘의 편에 섰던 전력이 있는데다, 이날 국민의힘의 다수표를 등에 업고 같은 당 의원 대신 의회운영위원장이 됐기 때문이다.
민주당으로선 엎친데 덮친격이었다.
그렇잖아도 ‘미운 자식’을, 상대 당인 국민의힘에서 밀어붙여 운영위원장이 돼버렸으니 속이 부글부글 끓어오를 것이다.
그럼에도 민주당이 고심할 수밖에 없는 이유는 국민의힘으로 기울어져 버린 힘의 균형추에 있다.
4‧5 보궐선거에서 패한 민주당이 사면초가에 빠진 형국인 것이다.
민주당은 지난 5일 치러진 보궐선거에서 패하면서 의석수 한 석을 국민의힘에 내줬다. 의석 수는 한 석에 불과하지만, 이 한 석이 갖는 의미는 매우 컸다. 지난해 지방선거를 통해 21대 21 여야 동수로 시작한 청주시의회가 국민의힘 22석, 민주당 20석이 됐기 때문이었다. ‘여대야소’로 재편된 것이다.
동등한 관계에서 소수당으로 전락해버린 민주당은 이날 상임위원장 선임과 상임위원 사보임 표결에서 다수당인 국민의힘에 끌려다니며 소수당의 설움을 절실하게 느껴야 했다.
더욱이 한 석이 소중한 현 상황에서 임 의원 한 석까지 이탈석이 되는 것도 속을 끓는 일이고, 그렇다고 민주당의 속을 뒤집어 놓은 ‘해당 행위’를 그저 두고만 볼 수 없는 노릇이다.
진퇴양난의 민주당에게 임 의원은 민주당에게 ‘계륵’ 같은 존재가 된 것이다.
그렇다고 마냥 물 구경 불구경 하듯 지나갈 수는 없는 일이다.
결국 칼을 빼들었다. 그 칼날이 잘 벼려 날카로운 것인지, 현실을 무시 못해 무뎌진 것인지는 두고 봐야 알 일이다.
민주당 충북도당은 임 의원에 대한 징계심의에 착수할 예정인 것으로 알려졌다.
내외부 인사 9명으로 구성된 민주당 윤리심판원은 다음 주 중 임 의원 징계청원 수용 여부를 논의한 뒤 징계사안으로 판단될 경우 그 수위까지 정할 것으로 보인다.
민주당의 징계 종류는 경고, 당직자격정지(1개월∼2년), 당원자격정지(1개월∼2년), 제명 등이 있다.
이에 앞서 민주당 청주시의원 20명은 지난해 12월 28일 ‘지방의회 의원총회’ 관련 등 당규와 윤리규범을 근거로 도당에 임 의원 징계청원서를 제출했었다.
당시 의원총회에선 ‘본회의 참석 거부’라는 당의 결정을 무시하고 임 의원이 원포인트 임시회에 ‘나 홀로 등원’한 것을 문제 삼았다.
여기에 더해 임 의원은 같은 당 의원과도 대립각을 세우고 있다. 지난 17일 개회한 청주시의회 임시회 당시 박승찬 의원을 상대로 징계 요구를 안건으로 제출해 논란이 일고 있는 것이다.
청주시의회에 힘의 균형이 깨지고 ‘일방통행’만 횡행한다면 바람직하지 않은 일이다. 악재가 겹친 민주당이 어떻게 활로를 열어갈지 지켜볼 일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