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대통령의 ‘일본 무릎’ 발언이 큰 파장을 낳고 있다.

도무지 대한민국의 대통령이 한 발언이라고는 상상하기 힘든 내용이다. 두 귀를 의심해야 할 지경이다.

외교란 것이 자국의 국익을 위해 ‘기브 앤 테이크’의 줄다리기를 하는 것일진데, 줄 것 내어주고 얻은 것은 신통찮은 일본 방문 결과를 두고 ‘굴욕외교’라는 비판을 들어야 했던 윤 대통령이 이번엔 방미 과정에서 부적절한 발언을 한 것을 두고 국민적 비판이 높다.

윤 대통령은 지난 24일 미 일간 워싱턴포스트와의 인터뷰에서 “유럽은 지난 100년 동안 여러 차례 전쟁을 겪었지만, 그럼에도 전쟁을 벌인 국가들은 미래를 위해 협력할 방법을 찾았다”며 “100년 전에 일어난 일 때문에 (일본과의 협력이) 절대적으로 불가능하다거나 일본이 무릎을 꿇고 용서를 구해야 한다는 생각은 받아들일 수 없다”고 말했다. 일본이 한국에게 왜 용서를 구하려 하느냐는 말이다.

도대체 어느 나라 대통령인지 묻지 않을 수 없는 내용이다.

여기에 기름을 부은 건 국민의힘이었다.

유상범 국민의힘 수석대변인은 이를 두고 ‘주어가 생략’된 ‘번역의 오류’라며 보호막을 쳤다.

그는 “해당 문장은 ‘무조건 안 된다, 무조건 무릎 꿇어라라고 하는 것은 (일본이) 받아들일 수 없다’로 해석해야 한다”면서 “문장 바로 뒤에 ‘이는 결단이 필요한 것이다’라고 말한 것을 보면 이것이 상식적인 해석”이라고 주장했다. “영어로 번역되는 과정에서 있을 수 있는 오역”이라고도 했다. 주어인 ‘일본’을 생략했다는 것이다.

차라리 그의 말이 틀리지 않았으면 하는 바람이 들 지경이었다.

‘일본이 무릎 꿇고 용서를 구해야 하는 것’을 받아들일 수 없는 ‘통큰’ 대통령이라면, 일본에 ‘용서 구하는 건 필요없는 것’이라고 말하는 대통령이라면, ‘아베의 아류’ 쯤으로 치부될 수 밖에 없기 때문이다.

그러나 불행히도 오역 논란은 금세 정리됐다.

기사를 작성한 워싱턴포스트의 미셸 예희 리 기자는 25일 트위터에 “번역 오류의 문제와 관련해 인터뷰 녹음본을 다시 확인해봤다”며 “여기에 정확히 말한 그대로의 문장이 있다”면서 그 내용을 공개했다.

그는, 윤 대통령 발언 녹취록에는 받아들일 수 없는 주체가 ‘저는’으로 돼 있다면서 번역 오류 주장을 정면 반박했던 것이다. 유 수석대변인의 주장이 틀렸던 것이다.

이는 바꿔 말하면, 유 수석대변인의 주장처럼 도무지 ‘상식적인 해석’으로 볼 수 없는 발언을 윤 대통령이 했다는 의미가 된다. 자승자박이 된 꼴이다.

윤 대통령이 예시로 든 “유럽은 지난 100년 동안 여러 차례 전쟁을 겪었지만, 그럼에도 전쟁을 벌인 국가들은 미래를 위해 협력할 방법을 찾았다”는 대목 또한 일본과 같은 선상에 놓고 이야기 할 수 있는 부분이 아니다.

독일은 그동안 2차 세계대전에서 반인권적인 행태를 벌인 나찌즘에 대해 처절한 반성을 해왔다. 지금도 그 전철을 밟지 않으려 하고, ‘히틀러’나 ‘나찌즘’ 등은 그들에게 금기어가 됐다.

이에 비해 일본은 반성의 시늉만 했을 뿐이다. 오히려 요즘 들어선 ‘반성 무용론’이 등장하고 되레 군국주의로 역행하고 있다.

윤 대통령은 지난 2021년 9월 11일, 국민의힘 대선 후보에 선출된 후 위안부 피해자 이용순 할머니를 만나 “일본의 사과를 반드시 이끌어내고, 할머니들이 마음의 상처를 받았던 것들을 다 해드리겠다”고 약속했다. 그 약속이 ‘일본 반성 불필요론’으로 되돌아오고 있는 것이다.

국민의 시선은 매우 준열하다는 것을 다시금 상기해야 한다.

저작권자 © 충청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