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북도립대학교 총장 임명을 둘러싼 논란이 점차 확산되고 있다.

쟁점이 되고 있는 사안은 절차와 과정에 따른 잡음과 총장으로서 적합한 인사인지에 대한 인물론으로 나뉜다.

논란이 수그러들 기미가 보이지 않자 김영환 충북도지사가 직접 진화에 나섰다. 그런데 그것이 진화인지, 방화인지는 지켜봐야 할 것 같다.

그는 최근 충북도립대학교 총장 임명을 둘러싸고 벌어진 ‘코드인사’ 논란과 관련해 “1순위 후보자로 추천된 김용수 서울산업진흥원 상임이사는 도립대 혁신의 적임자”라고 두둔했다.

김 지사는 “새 총장을 미리 정해놓고 밀어붙이는 건 아니다”라면서도 “중환자실에 누워있는 도립대를 치료하기 위해 지사와 함께 일할 수 있는 사람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그의 ‘속뜻’이 김 상임이사에게 쏠려 있음을 보여준 것이다.

앞서 충북도 지방교육공무원 인사위원회는 지난 19일 회의를 열어 도립대 신임 총장 1순위 후보자로 김 상임이사를 추천했다.

그러나 여기에는 뒷말이 무성하다.

김 지사가 천거한 것으로 알려진 김 상임이사는 지난해 11월 1차 공모에선 충북도립대 총장임용추천위원회 심사조차 통과하지 못했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재공모에 다시 지원해 쟁쟁한 후보들을 제치고 최종 후보로 선정됐던 것이다.

1차 공모 당시 도 인사위원회는 총추위 추천 후보 2명 모두를 부적격 처리했다.

이를 두고 일각에선 김 상임이사가 후보에 없기 때문이라는 주장도 나왔다. ‘코드인사’ 논란이 불거질 수밖에 없는 이유다.

김 지사가 이번에 김 상임이사를 총장으로 최종 선택하게 되면 충북도가 그동안 부인해왔던 ‘특정 인사 발탁을 위한 1차 공모 고의 무산’ 의혹은 점차 확산될 수밖에 없다.

두 번째 지적되는 것은 김 상임이사의 나이 문제다.

교육공무원법에 따르면 국공립대학 총장 임기는 4년, 정년은 만65세다.

현재 만62세 3개월인 김 상임이사가 총장직을 맡게 된다면 만65세가 되는 2026년 2월까지 2년 8개월밖에 총장직을 수행하지 못하게 된다. 그러면 1년 4개월짜리 ‘시한부 총장’을 새로 뽑아야 할 수도 있다는 이야기다.

여기에 대해 김 지사는 “신임 총장은 충북도와의 긴밀한 파트너십, 중앙정부와의 협상 및 교섭력, 11개 시·군과의 협력 등을 이끌어내는 역할을 담당해야 할 사람”이라고 특정해 버린다.

도민들이 양해해 주면 한 번 일할 기회를 주고 싶다고도 했다.

김 지사가 굳이 김 상임이사를 낙점하고자 하는 까닭은 그의 인맥과 로비력에 점수를 주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이 같은 상황으로 보아 이미 결정됐다는 뜻으로 읽힌다.

임명권을 가지고 있는 도지사로서 그 권한을 행사하는 것을 두고 뭐라 할 수는 없다. 그러나 여기엔 합리성과 당위성이 담보돼야 한다.

총장임용추천위원회 심사조차 통과하지 못했던 김 상임이사가 1순위 최종 후보로 선정된 과정과, 그의 나이 문제를 보면 합리적이었다고 보기는 힘들다.

‘꼼수로 가득한 드라마’, ‘낙하산 인사’라는 비판은 그래서 나온다.

저작권자 © 충청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