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기 6월 경기전망지수 하락세
반짝 반등했던 중소기업 경기전망지수가 다시 하락세를 보였다. 내수 침체의 골은 더 깊어지고 수출도 뾰족한 활로가 없다는 분위기다.
중소기업중앙회가 지난 5월 15일부터 22일까지 3058개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진행한 '2023년 6월 중소기업 경기전망조사'에 따르면 6월 업황전망 경기전망지수(SBHI)는 81.1로 전월대비 2.7p 하락해 지난달(3.1p↑) 상승세를 이어가지 못했다.
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교하면 5.0p 하락한 수치다.
제조업의 6월 경기전망은 전월대비 2.5p 하락한 84.0을 기록했다.
비제조업은 2.8p 하락한 79.9로 나타났다. 건설업(80.6)이 0.7p, 서비스업(79.7)이 3.3p 각각 하락했다.
제조업에서는 의복·의복액세서리및모피제품(77.2→82.9, 5.7p↑), 의료용물질및의약품(93.6→97.6, 4.0p↑)을 중심으로 6개 업종은 전월대비 상승한 반면, 섬유제품(92.4→73.0, 19.4p↓), 자동차및트레일러(93.1→85.8, 7.3p↓) 등 16개 업종은 하락했다. 1차금속(83.7)은 전월대비 보합으로 조사됐다.
비제조업에서는 건설업(81.3→80.6)이 전월대비 0.7p 하락했고, 서비스업(83.0→79.7)도 전월대비 3.3p 하락했다.
서비스업은 교육서비스업(4.4p↓), 도매및소매업(4.0p↓) 등 7개 업종에서 하락한 반면, 운수업(0.3p↑), 숙박및음식점업(1.1p↑) 2개 업종은 상승했다. 예술,스포츠및여가관련서비스업(96.1)은 전월대비 보합으로 조사됐다.
전산업 항목별 전망에서는 내수판매(84.6→81.4), 수출(86.9→85.9), 영업이익(81.0→78.2), 자금사정(80.8→78.5)은 전월대비 하락했으며, 역계인 추세인 고용(95.2→95.3) 항목은 소폭 악화될 것으로 전망됐다.
5월 중소기업 경영애로는 내수부진(61.2%) 비중이 가장 높았고, 인건비 상승(44.5%), 업체간 과당경쟁(35.6%), 원자재 가격상승(34.3%), 고금리(25.0%) 순으로 뒤를 이었다.
/이용민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