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기부·NIA '2023 디지털 공공서비스 혁신프로젝트 사업' 선정
정수장서 수도꼭지까지 물관리 신기술 활용 효율성 향상
성공적 모델 개발로 국민 물 안전, 물 복지 실현 한 발짝 더
AI 등 디지털 신기술 활용한 지능형 수돗물 안전플랫폼 구축
한국수자원공사가 '지능형 수돗물 안전플랫폼' 개발에 착수한다.
공사는 기후위기에 대비 안전한 수돗물 공급을 위해 AI 디지털 혁신기술을 활용한 플랫폼 개발을 시작한다.
지능형 수돗물 안전플랫폼은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디지털 신기술을 활용한 혁신적 공공서비스를 발굴하기 위해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NIA)과 추진하는 '디지털 공공서비스 혁신 프로젝트 사업'의 일환으로, 지난 2월 2023년 공식 과제로 선정된 바 있다.
이에 공사는 지난 4일 대전시 대덕구 본사에서 사업 관계자들을 대상으로 '지능형 수돗물 안전플랫폼' 착수보고회를 열고, 본격적인 개발에 나섰다.
지능형 수돗물 안전플랫폼은 기후변화와 디지털 전환 가속화 등 급변하는 대외 환경에 대비, 안정적인 수도 공급을 위해 추진된 것으로, GIS 기반 데이터를 활용해 분석하는 의사결정형 통합플랫폼이다.
주요 내용으로는 △GIS 기반 데이터 통합모니터링 체계구축 △관망 수질 위험지도(Risk Map) 개발 △Al 기반 관로 누수탐지 솔루션 개발 △수돗물 안심서비스 등 공공서비스 모바일 앱(APP) 개발 등이다.
공사는 올해 말 시스템 개발 완료를 목표로 사업에 박차를 가한다.
개발된 시스템은 경상북도 예천군, 충청남도 논산시 등 공사가 수도시설을 수탁, 운영 중인 지자체를 대상으로 우선 시범 운영한다.
그 결과 등을 토대로 이후 타 지자체로 확산도 검토할 예정이다. 또 개발되는 서비스는 클라우드 기반의 서비스로 국민에게도 공개한다.
공사는 이번 사업을 통해 관로, 수질 등 수돗물 공급 과정상에 발생할 수 있는 수도사고 사전 예방과 유수율 향상 등으로 국가 상수도 선진화에도 기여할 전망이다.
정수장에서 각 가구 내 수도꼭지까지 수돗물 공급 전 과정에 대한 공공서비스를 투명하게 공개함으로써 수돗물 신뢰도 향상 또한 가능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한국수자원공사 문숙주 수도부문 이사직무대행은 "AI 등 디지털 신기술을 활용한 지능형 수돗물 안전플랫폼 구축을 통해 우리 정부가 추진 중인 디지털플랫폼 정부의 실현에 적극 부응하겠다"면서 "성공적인 모델 개발로 전 지자체 확산과 국민 물 안전, 물 복지 실현에 한 발짝 더 다가서겠다"고 말했다. /대전=이한영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