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청칼럼] 김헌일 청주대 생활체육학과 교수
‘국제 망신’, ‘파행’. ‘새만금 세계잼버리대회’ 수식어다. 그런 잼버리를 보면 2027 세계대학경기가 보인다. 이 둘은 너무나도 닮았다.
그 닮은 꼴은 첫째, 복잡한 개최 조직 구조다. 잼버리는 공동 조직위원장으로 여가부 장관, 민주당 지역구 국회의원, 행안부 장관, 문체부 장관, 스카우트 연맹 총재의 5인 체제이고, 집행위원장은 전라북도 지사다. 그러나 조직위 실질 총괄은 여성가족부가, 현장 업무는 집행위원장의 전라북도 공무원들에 의해 이루어졌다.
잼버리를 통해 가장 이득을 보게 되는 전라북도가 적극적으로 주도할 수밖에 없는 행사 성격이지만, 처음부터 만일의 사태에 책임 소재는 불분명한 구조다. 주관이 불분명하고, 책임소재가 불분명해 세심한 부분까지 챙기는 조직이 없었고, 막상 사고가 나니 서로 네 탓 공방뿐이다.
2027 충청하계세계대학경기대회는 이보다 더 복잡하다. 중앙부처는 문화체육관광부 하나고, 주관 단체도 대한체육회 하나지만, 지방자치단체가 충북, 충남, 대전, 세종으로 4개다. 실리를 챙겨야 하는 지자체가 4개이기 때문에, 제각각 실리를 챙기기에 집중할 뿐 실제 행사의 세심한 부분이나 비상시 책임은 서로 떠넘기기 딱 좋은 구조다.
둘째, 예산구조다. 잼버리는 야외 행사인 만큼, 문제가 된 화장실, 샤워장 등 야영에 필수 기초 시설에 중점을 두어야 했는데, 예산은 엉뚱한데 썼다. 2년 전 국회에서도 지적된바 있는 화장실 문제가 대표적인 사례다. 충청 세계대학경기대회도 예산구조를 살펴보면 온통 이해하기 어렵게 세워졌다. 특히, 턱없이 부족한 예산 총액과 대회 운영비는 추경 없이는 개최 불가능하다.
셋째, 개최 목적이다. 잼버리의 예산 사용처를 보면, 전라북도의 개최 속셈은 성공적인 잼버리 그 자체라고 이해하기 어렵다. 중앙정부의 예산 지원 목적과 집행 실질 주체인 전라북도는 잼버리 개최 목적이 ‘동상이몽’ 그 자체였다고 여겨진다. 언론은 잼버리를 기회로 삼은 전라북도의 SOC 사업을 문제의 원인으로 다루었다.
충청 세계대학경기대회도 마찬가지다. 대전, 세종, 충남 모두 관련 스포츠 인프라 확충과 SOC에 집중하는 모습이다. 심지어 충북은 개·폐회식과 흥행 종목을 포기하면서까지 스포츠 시설 확충에 집중하고 있다. 상호 간 신뢰로 사업 이득을 각 지자체가 잘 나눠 가질 수 있다. 그런데 문제는 각자 몫을 챙기기에 집중하다가 정작 대회 개최 자체는 뒷전이 되고 말 위험이 더 크다는 것이다. 정작 대회 개최 중 사고 발생할 때 서로 책임 떠넘기기를 할 장면이 벌써 보이기 시작한다.
마지막으로, 잼버리 파행의 가장 큰 원인은 결국 컨트롤 타워의 부재였다. 메가 이벤트 개최 운영 경험이 없는 여성가족부와 전라북도가 잼버리를 주도했다. 이 부분은 지금도 이해하기 어렵다. 올림픽 FIFA 월드컵 같은 메가 이벤트를 개최한 대한민국의 이벤트 개최 노하우는 세계 최고 수준이고 문화체육관광부가 그 중심에 있다. 도대체 왜 위험한 조직위 구성을 했는지가 가장 궁금하다.
충청세계대학경기대회 조직위는 더욱 위험하다. 충청 4개 지자체의 독단적인 조직위 구성으로 시작도 하기 전 대한체육회, 문체부와 소란을 일으켰다. 각기 셈법이 다른 충청 4개 지자체의 개최 능력을 신뢰하기 어렵다. 메가 이벤트 개최 노하우는 대한체육회와 문체부가 가지고 있음을 고심해야 한다.
잼버리로 세계 강국 대열에 올라선 대한민국 국민 자존심에 상처가 났다. 사고는 정부, 전라북도 관료들과 스카우트 단체가 치고 부끄러움은 국민 몫이었다. 만약, 충청세계대학경기 대회가 파행된다면, 그 부끄러움은 오로지 충청인의 몫이 될 것이다.
4개 지자체와 조직위는 지금이라도 욕심을 버리고, 성공적인 대회 개최를 위해 이성을 찾아야 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