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추진을 두고 충북대와 한국교통대학교 간에 생긴 마찰이 학교 간 갈등으로 확산되고 있다.

충북대 학생과 운영위는 반발의 강도를 높였고, 교통대 또한 “가이드라인을 제시하라”며 무너져버린 자존심을 되찾으려 하고 있다.

당초 학내 갈등에서 시작됐던 것이 학교 간 마찰로 그 범위를 넓혀가고 있는 것이다.

충북대 학생연합은 그동안 온라인으로 통합 반대운동을 벌여오다 12일부터 본격적인 시위를 예고했다. 단과대 학생회장 등으로 이뤄진 충북대 중앙운영위원회도 지난 6~8일까지 묵언 시위를 진행하다 11일부터는 ‘육성 시위’까지 확대했다.

시위 대상도 총장과 대학본부였던 것이, 사과를 요구하는 교통대까지 추가했다.

교통대 학생회는 학생들에 대한 공식적인 의견수렴을 거치지 않은 단계여서 ‘찬반’에 대한 방침을 정하지 못한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많은 학생들이 충북대 일부 교수들의 발언 ‘부적절한 발언’에 대해 자존심이 크게 상해 있는 상황이다. 자존감마저 크게 무너져 있는 상황에서 통합과 관련해 긍정적인 결과물이 도출되긴 힘들 것으로 보인다.

교통대 교수들까지 학생들의 의견에 동조하고 있다.

교통대를 무시하는 듯한 충북대 교수들의 발언에 대해 자존심이 상하다 보니 원론적인 명분만으로 통합을 추진한 교통대 집행부에 대한 불만으로 불똥이 튀고 있는 상황이다.

특히 통합을 위한 통합보다는 통합에 대한 미래비전 등 구체적인 가이드 라인을 제시해야 하는데도 이에 대한 노력은 없고, 특히 교통대가 지역과 구성원들의 의견을 제대로 수렴하고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는 지적이 대두되고 있는 것이다.

교통대는 충북대 공개토론회에서 논의된 내용이 두 대학이 합의한 ‘단계적이고 수평적 통합 원칙’에 정면으로 위배된다는 입장이다. 일련의 상황을 보면, 충북대와 교통대는 통합을 위한 접점을 찾지 못한 채 마찰과 갈등만 심화될 것으로 보인다.

이 같은 갈등을 유발하게 된 것은 ‘글로컬대학30’ 사업이다.

1000억원이라는 막대한 자금이 지원되는 이 사업은 대학으로선 매우 매력적인 것이다.

지방대학들이 생존을 걱정해야 하는 이 즈음, 이 사업에 선정된다는 것은 학교 발전에 ‘전기’를 마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나 양 대학은 통합에 앞서 정작 중요한 것이 무엇인지 깊게 살펴봐야 했다.

물론 양 대학이 통합이라는 명분을 통해 ‘글로컬대학30’ 사업에 선정되고, 큰 규모의 지원금을 받게 된다면 환영할 만한 일이라 할 수 있다. 선정 기준 가운데 큰 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키워드가 ‘통합’으로 보이기 때문에 양 대학의 노력 또한 일견 당연한 것으로 여겨질 수 있다.

그럼에도 글로컬 대학 선정에만 매몰된 대학이 간과하고 있는 지점이 있다. 정체성(Identity)이다. 반대가 극심하다면 그 이유가 있다. 물론 조화로운 ‘화학적 결합’으로 보다 더 높은 지점을 향해 나아갈 수 있다면 적극적으로 합심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현 상황을 보면 그렇지 못하다. 상황과 입장은 약간 차이가 있지만, 충북대는 충북대대로, 교통대는 교통대로 반대의 목소리를 내고 있다.

반대가 극심한데도 통합을 강행하게 되면 그 부작용은 매우 크다. 그 후유증은 시간이 갈수록 심화되게 마련이다. 의견의 결집부터 선행돼야할 이유가 여기에 있다.

저작권자 © 충청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