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남과 경기에 이어 충북지역도 소 럼피스킨병(Lumpy Skin Disease)이 발생돼 확산이 우려되고 있다.
지난 20일 충남 서산의 한 한우농장에서 럼피스킨병이 국내 최초로 확인됐고, 이어 21일 최초 발생 농가 인근의 젖소농장과 충남 당진 신평면 한우농장, 경기 평택 청북읍 젖소농장에서 추가 확진 사례가 보고됐다.
22일 오전에도 충남 서산 부석면 농장 3곳과 태안군 이원면의 한우농장 1곳, 경기 김포 하성면과 평택 포승읍 소재 젖소농장, 23일에는 충북 음성군의 한우농장 확진 등 첫 확진 이후 3일간 충남 9건, 경기 4건, 충북 1건 등 모두 14건이 발생했다. 의심 신고 또한 지속적으로 이어지고 있어 확진 사례는 더 나올 것으로 보인다.
해마다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확산 추이 또한 광범위한 양상을 보이고 있는 가축 질병은 우리 환경이 그만큼 여러 질병에 노출돼 있고 그에 대한 취약성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반증한다.
올해 초에도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AI)가 예년처럼 유행했고, 봄에는 4년여 만에 구제역이 발생한 데 이어 아프리카돼지열병(ASF) 발생 범위도 넓어졌다. 그런만큼 그 근원적 문제부터 정확히 파악해 대응해야 한다는 필요성이 제기된다.
럼피스킨병은 모기 등 흡혈 곤충에 의해 소에게 전파되는 바이러스성 전염병으로 사람에겐 전염되지 않는다. 최초로 발견된 것은 지난 1929년 잠비아였다. 이후 수십년간 아프리카 지역의 풍토병으로 여겨졌지만 2010년대 들어 유럽, 아시아 국가로 퍼져나갔다.
소가 럼피스킨병에 걸리면 고열과 함께 피부결절 등이 나타나고 체중이 감소한다. 또 신체의 일부가 부풀어 오르는 종창이 생기거나 침을 흘리는 증상도 동반된다. 여기에 불임, 유산 등 번식 문제가 나타나고 젖소는 우유 생산량이 절반 이하 수준으로 줄어든다.
가장 우려스런 부분은 폐사율이 10%에 달한다는 점이다. 대표적인 소 전염병인 구제역의 폐사율이 5% 정도임을 감안하면 이 질병이 어느 정도 파괴력을 지닌 것인지 알 수 있다.
국내에선 1종 가축전염병으로 분류해 관리하고 있다. 정부와 지자체가 감염 확산 방지에 온 힘을 쏟아야 할 이유다. 정부는 긴급 방제조치와 함께 역학조사와 백신접종을 서둘러 확산 차단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고 한다.
위기경보단계를 최고 수위인 '심각' 단계로 높였고, 긴급행동지침(SOP) 등에 따라 300여 마리를 살처분했다. 또 농장 간 전파를 막기 위해 전국 소 사육농장, 관련 작업장 등에 대해 지난 20일 오후 2시부터 22일 오후 2시까지 48시간 가축과 사람, 차량의 일시이동중지 명령을 발동했다.
여기에 발생농장 10㎞ 이내 방역대에서 사육 중인 소에 대해 백신접종을 추진한다고 한다. 충남 2만여 마리, 경기 3만3000여 마리가 대상이다.
충남도 또한 긴급 방역조치에 나섰다. 충남에선 서산에서 첫 발생 이후 당진, 태안으로 확산되면서 7건이 감염됐다.
발생농가에 초동방역팀과 역학조사팀을 파견해 외부인·가축·차량의 농장 출입 통제와 역학조사를 진행했고, 당진 농가에서 사육중이던 한우, 서산 농가의 젖소에 대해 매몰 처리했다.
충북도는 럼피스킨병 발생 직후 방역대책본부와 24시간 상황실을 가동하고 있다. 충북도내 소 사육농가 5000호에 대해 전화예찰과 임상 관찰을 강화하고 있다. 이번 질병이 더 이상 확산되지 않도록 정부와 지자체는 더욱 더 배가의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