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802명 집계… 전년比 14.9% ↓
저출산에 코로나로 결혼 못해
신‧구도심 출산 양극화 ‘뚜렷’
市, 다자녀 가정에 지원 확대
세종시의 지난해 출생아 수가 3000명 밑으로 떨어지며 역대 최저치를 기록했다.
행정안전부 주민등록 인구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세종시의 출생아 수는 2802명으로 집계됐다.
이는 전년보다 493명이 감소한 수치다. 14.9% 가량 떨어진 셈이다.
저출산 추세가 지속하는 가운데 코로나19로 최근 몇 년간 결혼을 많이 하지 않은 것이 출생등록 건수가 감소하는 데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된다.
지난해까지 세종시 연간 출생아 수가 3000명 미만으로 내려간 적은 단 한 번도 없었다.
출생아 수는 2019년 3895명을 정점으로 2020년 3500명으로 급감한 뒤 2021년 3538명으로 반등했으나 2022년 3295명, 2023년 2802명으로 내리막길을 탔다.
신생아는 신·구도심 간 양극화 현상이 뚜렷하다.
10개 읍‧면 신생아 수는 346명으로 세종시 전체 신생아 수의 12.3%를 차지했다.
조치원(125명)을 제외하고는 20명 미만에 그쳤다.
전동면은 1명이 태어나 가정 적었다.
가장 많이 태어난 곳은 반곡동으로 429명이었다.
출생아 수에서 사망자 수(1595명)를 빼 계산하는 인구 자연증가는 1207명을 기록했다.
세종시 전체 인구는 증가했다.
지난해 38만6525명으로 전년보다 2934명(0.7%) 늘었다.
65세 이상 노인 인구가 전체 인구에서 차지하는 비중을 뜻하는 고령화율은 11%로 전년(10.4%)보다 0.6% 증가했다.
이에 시는 올해부터 출산 장려를 위해 세 자녀 이상을 둔 다자녀가구에 대한 지원을 확대한다.
입학축하금을 셋째 30만원, 넷째 40만원, 다섯째 50만원을 지급한다.
또 월 수도요금 2000원을 깎아준다.
출산장려금은 자녀 숫자와 상관없이 아이 1명당 120만원을 지원하고 있다.
시 관계자는 “저출산 추세에 코로나19로 결혼까지 줄어들어 출생아 수가 감소한 것으로 보인다”면서 “다자녀 가정의 경제적 부담을 최대한 줄이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세종=이능희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