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 공공성 농협, 지역화폐 사용하게 해야
농민들 불편 가중, 개선 요구 목소리 높아

정부가 지역화폐 사용 가이드라인을 년 매출 30억 이하 소상공인 업체에만 사용하도록 한 정책이 농촌이 산재한 지역민에게는 불편하다는 목소리가 높다.

이로인해 농협하나로마트와 농협경제사업부까지 사용처가 제한돼 지역 여건을 고려하지 않은 정책이라는 지적이다.

농협은 개인의 이익을 추구하거나 개인의 영리목적 법인이 아니라 공공특성이 있는 기업이란 것이다.

특히 농어촌 지역에서는 지역민 편익 차원에서도 농협하나로마트가 필요하다는 주장에 무게가 실리고 있다.

하지만 농협하나로마트와 농협경제사업부도 개인의 이익과 영리를 추구하는 기업과 같이 적용해서 지역화폐 사용이 제한된다.

농협하나로마트의 이익금은 농협 조합원들에게 환원되기에 30억 이상 매출이 발생해도 사익 추구의 대형상점과는 달라서 지역화폐를 사용케 해야 한다는 여론이다.

농민들은 정부가 농협에 지역화폐 사용을 제한하기 때문에 농협경제사업장에서 판매하는 비료와 농약, 농자재, 면세유 등 구매가 불편하다고 호소하고 있다.

한 농민은 "지역경제 활성화와 소상공인을 살리고자 도입한 지역화폐 정책이 농촌 거주자의 불편을 초래하고 있다"며 "되도록 농민 편에서 개선돼야 한다"고 요구했다.

특히 서산지역 인지면, 부석면, 성연면, 팔봉면, 음암면, 운산면, 해미면, 고북면 8개 지역 주민들은 농협하나로마트에서 지역화폐를 사용하지 못해 불만을 토로하며 조례제정까지 요구하고 있다.

면, 단위에 거주하는 주민들은 지역화폐를 사용하려면 멀리 떨어진 시내까지 나와야 농기구와 생필품 구매할 수 있어 원 거리주민 불편 해소가 요구된다.

시의회가 농협하나로마트와 경제사업장에서 지역화폐를 사용할 수 있도록 조례만 개정해 줘도 농민들의 불편을 해소하게 된다.

주민 A씨는 "농협 하나로, 마트는 농민들이 주인이다. 배려 없는 탁상행정 때문에 농민들이 주인인 농협 하나로, 마트에서 삽이나 빗자루 한 자루도 못사는 이런 정책은 개선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정부는 지역화폐를 농협 하나로 마트에 사용할 수 있도록 규제를 풀어 많은 농민이 비료, 농약 등 농사에 필요한 생필품을 인근에 있는 농협하나로마트에서 사들일 수 있도록 불편을 해소 해주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정부가 중소도시에 거주하는 주민들의 편익을 고려해 지역화폐를 농협에서 사용하도록 시행령을 개정할지 향후 귀추가 주목된다.
/서산=송윤종기자

저작권자 © 충청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