늘봄학교 정책 확대에 정부와 충북도교육청이 속도를 내고 있다.

이에 대한 반응은 엇갈린다. 우선 학부모들의 호응도는 높아지고 있다. 돌봄 공백을 메꾸는데 큰 역할을 하기 때문이다. 반면 교사들은 반대의 목소리를 내고 있다. 여건 조성이 미흡한데다 교사들의 부담이 크게 늘어나고 있다는 이유다.

지난 329일 기준으로 보면, 전국 2838개 초등학교에서 늘봄학교를 운영 중이다. 1학기에는 늘봄학교 참여 학교가 200여 개교 더 늘어나게 된다. 전국 초등학교 절반에 해당하는 수치다. 1학년 학생의 70% 이상인 약 14만명이 참여하게 된다.

충북은 100개교가 늘봄학교를 운영 중에 있고, 2학기부터는 도내 모든 초등학교인 255곳으로 확대된다.

충북교육청이 지난 3월 진행한 설문조사에 따르면, 1학기 늘봄 시범운영 학교(100) 1학년 4669명 중 3967(85)이 늘봄학교 프로그램을 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신학기 시작 전인 올 2월 진행한 수요조사에서 3154(68)이 희망했던 것을 비교하면, 813명인 17가 늘어난 것이다. 학부모 입장에선 초등학교 1·2학년의 경우 어린이집·유치원보다 더 이른 오후 1시쯤 정규수업이 끝나 돌봄 공백이 발생하는데, 이에 대한 부분을 학교가 책임져 준다니 안심이 된다는 것이다.

충남교육청은 사각지대 없는 아동 돌봄 사회안전망을 구축해 아이 키우기 좋은 충남을 실현하기 위해 충남 온종일 아동돌봄 통합지원단 협의회를 가졌다고 한다.

이날 협의회에서는 온종일 아동돌봄 사업 구상 조례에 따른 광역협의회 구성안 충남 늘봄학교 사업 공유 등 충남 온종일 아동 돌봄에 관한 전반적이고 효율적인 운영 방안에 대한 정보를 공유했다. 프로그램은 착착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반대의 목소리도 만만찮다. 준비가 안 됐다는 것이다.

인력과 공간 문제 등이 해결되지 않아 많은 학교에서 현장 교사들이 혼란과 어려움을 호소하고 있다는 것이다.

지난 3월 전국에서 가장 먼저 시행된 부산 늘봄학교와 관련해 전교조 부산지부는 320~28일까지 늘봄학교 대상으로 실태조사를 진행한 결과를 공개했다.

이번 실태조사에 따르면 1 학습형 늘봄 프로그램 미운영 사례 발생 늘봄기간제교사와 늘봄실무사가 아닌 교사의 늘봄업무 발생 강사를 구하기 힘들어 교사가 초1 학습형 늘봄 프로그램 강사로 운영 공간 부족으로 교육과정 운영에 악영향 무분별한 기간제 교사 채용으로 혼란 발생 등의 파행 사례가 확인됐다고 한다.

정부와 교원단체 간 갈등도 표출되고 있다.

교사 노조단체들은 정부가 늘봄학교 추진을 반대하는 교사 노조단체를 상대로 법적 대응을 검토하고 있다며 크게 반발하고 있다. 서울교사노조가 지난 1월 각 학교에 늘봄학교 관련 공문을 접수하지 말아 달라고 요청하는 공문을 발송했던 일에 대해 대통령실이 업무방해 소지가 있다고 했는데, 이는 노조에 대한 근거 없는 엄포 행위라는 게 이들의 주장이다.

늘봄학교가 돌봄공백 해소에 도움이 된다는 학부모나, 준비가 미흡하고 업무가 과중된다는 교사 입장 모두 수긍이 간다. 정부가 이 제도의 시행에 있어 긍정적인 부분은 살리고 부정적인 부분은 보완해야 하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저작권자 © 충청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