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 물량 130대… 전년比 82% ↓
국비지원 축소‧재정난 등 영향
보조금 감소로 선호도 하락세
세종시가 역점적으로 추진한 친환경차 정책 추진 동력이 저하될 우려를 낳고 있다.
국비 지원이 축소된데다 시의 재정난까지 겹쳐 보조금이 급감했기 때문이다.
23일 세종시에 따르면 올해 전기‧수소차 구매보조금 지급 대상 차량 수가 130대에 불과하다.
이는 지난해 740대보다 610대(82.4%) 줄어든 수치다.
시는 차종별로 전기 승용차 100대, 수소 승용차 30대를 목표로 올해 보급사업을 진행한다.
역대 최다 물량을 기록했던 2022년(1413대)과 비교해 1283대 줄어든 숫자다.
이같이 전기‧수소차 보급물량이 적다 보니 벌써부터 보조금이 바닥을 보이고 있다.
시는 올 상반기 전기‧수소차 90대(일반 38대, 우선순위 38대, 택시 14대)를 지원한다.
이 중 76대의 신청이 마감돼 보조금 소진율은 84.4%를 기록했다.
일반과 우선순위 물량 76대는 신청 접수 하루 만에 마감됐고, 택시는 14대 중 11대가 남아있다.
전기·수소차 모두 보급 대수가 줄어든 가운데 전기차는 보조금 규모 또한 축소됐다.
보조금이 줄어든 것은 정부의 국비 지원이 감소한 영향이 크다.
전기차 보조금은 국비에 지방비가 합쳐져 지급되는데, 올해 국비 보조금이 지난해(680만원)보다 30만원이 감소한 650만원으로 책정됐다.
이와 함께 보조금 기준도 낮아졌다. 전기 승용차의 경우 올해 보조금 기준이 지난해(5700만원)보다 200만원 낮아진 5500만원으로 조정됐다.
올해 세종에서 최대로 받을 수 있는 전기차 보조금은 승용차 기준 900만원으로, 전년(1080만원) 대비 180만원 낮아졌다.
수소차 보조금은 지난해와 동일한 3250만원으로 확정됐다.
친환경차 보급사업이 시작된 이후 전기차 보조금이 1000만원 밑으로 떨어진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문제는 보조금 사업 규모가 축소될수록 소비자 유인효과는 낮아질 수밖에 없다는 점이다.
실제 2022년 65.6%를 기록했던 세종시 전기차 전년 대비 증가율이 지난해 42.6%로 떨어졌다.
직장인 김모씨(35)는 “전기차 구매에 있어서 보조금은 차량 구매에 절대적인 영향을 끼친다”면서 “전기차 관련 사고 소식이 계속 들리는 상황에서 보조금까지 줄면 더욱 구매할 필요를 못 느끼겠다”고 말했다. /세종=이능희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