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굿위드 경제야 놀자!

국토교통부에서 대중교통 이용을 장려하고 사용자의 경제적 부담 완화를 목적으로 시행하는 K-패스 카드는 기존 알뜰교통카드의 제한적인 혜택을 확대하여 새롭게 개편된 교통비 절감 제도이다. 알뜰교통카드는 이동(도보, 자전거 등) 거리에 비례한 마일리지 환급이지만, K-패스는 이동 거리와 관계없이 단순히 대중교통 이용 횟수에 따라 지출금액의 일정 비율을 환급하는 방식으로 출발과 도착기록에 따른 이용자의 불편 등 알뜰교통카드의 단점을 개선하고 적립 혜택을 확대하여 이용자의 편익을 강화했다.

K-패스의 최소 지급요건은 월 15회 이상, 최대 60회까지 시내버스, 마을버스, 지하철, 광역버스, GTX 등 특정 지역이 아닌 전국 단위 호환으로 대중교통을 정기적으로 이용할 경우, 일반인은 지출금액의 20%, 청년은 30%, 저소득층은 53%를 다음 달에 이용자에게 직접 환급해 주는 방식이다.

ex) K-패스를 1년간 60회 이용 시, 환급받는 금액은 다음과 같다.

구분

일반

청년(19~34)

저소득

환급율

20%

30%

53%

시내버스(1,500)

216,000

(300×60×12개월)

324,000

(450×60×12개월)

576,400

(800×60×12개월)

광역버스(3,000)

432,000

(600×60×12개월)

648,000

(900×60×12개월)

1,144,800

(1,590×60×12개월)

GTX

수서~통탄(4,450)

640,800

(890×60×12개월)

961,200

(1,335×60×12개월)

1,690,200

(2,360×60×12개월)

 

▣ K-패스 신청 방법

카드발급은 4월 24일부터 신한, 우리, 하나, BC, 삼성, 현대, 국민, 농협, DGB유페이, 이동의 즐거움(모바일 이즐, 카카오페이 모발일 교통카드) 등 10개 카드사와의 협업을 통해 발급한다. 참여 카드사별로 이용 실적에 따라 추가적인 혜택을 제공하기 때문에 교통비 부담을 줄일 수 있다.

신규가입자는 5월 1일부터 K-패스 누리집(홈페이지), 전용 앱 또는 웹사이트에서 신청

할 수 있으며, 신청 방법은 다음과 같다.

K-패스 홈페이지 ⇒ 회원가입 ⇒ K-패스 신청메뉴 ⇒ 본인인증 ⇒ 개인정보 동의 ⇒ 출금계좌 정보입력 ⇒ 신청 완료.

▣ 알뜰교통카드 ‘K-패스’ 전환

알뜰교통카드 기존 회원은 알뜰교통카드 홈페이지 또는 엡에서 4월 24일부터 전환해서 사용할 수 있으며, 기존 알뜰교통카드 청년회원도 5월 1일 ~ 6월 30일까지 K-패스로 전환하여 혜택을 계속 받을 수 있다. ‘K-패스’ 회원 전환 절차는 다음과 같다.

‘K-패스 회원 전환 안내’⇒ 주소지 검증 및 카드번호 유효성 체크 ⇒ ‘K-패스 전환 동의’

⇒ 전환 완료 후 5월 1일 K-패스 앱으로 업데이트를 하면 기존에 발급받은 카드로 사용 혜택을 적용받을 수 있다. K-패스 혜택은 전환일로부터 적용되므로 K-패스 전환이나 신규회원 가입을 하지 않으면 혜택을 받을 수 없다.

* K-패스 카드 신규발급자도 4월 24일~ 4월 30일간 알뜰교통카드에 회원가입 후 회원 전환을 하면 알뜰교통카드 혜택과 K-패스 혜택을 모두 적용받을 수 있다.

▣ 기후동행카드와 K-패스카드

현재 시범사업 중인 ‘기후동행카드’와 ‘K-패스’ 선택 시, 일상적인 출퇴근이 규칙적이고 서울 내에서만 월 41회 이상 대중교통을 이용하는 경우, 기후동행카드가 제공하는 맞춤형 혜택이 더 클 수 있다. 41회 이하 이용하거나 다양한 대중교통을 자주 이용하는 경우는 K-패스의 환급율이 더 유리할 수 있다. 반면, 다양한 지역으로 자주 이동하거나 광역버스와 GTX를 포함한 광범위한 대중교통을 이용하는 경우, K-패스가 더 많은 혜택을 제공할 수 있다.

구 분

K-패스

기후동행카드

이용 지역

전국

서울시

지원 기준

15회 이상 대중교통 이용자

62,000

65,000(따릉이 포함)

지원 대상

일반 20%, 청년 30%, 저소득층 53%

카드 구매자

지원 상한

월 최대 60

제한 없음

이용 수단

지하철, 시내버스, 마을버스,

광역버스, GTX

지하철, 시내버스. 마을버스,

심야버스, 따릉이, 리버버스

시행 시기

20245

현재 시범사업 중

(20247월 본 사업 시행 예정)

 

※ 지역과 이용 횟수에 따라 ‘기후동행카드’와 ‘K-패스 카드’ 중 각 카드의 세부 혜택과 자신의 생활 패턴을 검토하고 비교한 후, 경제적이고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는 가장 적합한 교통카드를 선택하는 것이 이상적이다.

 

 

 

 

▲ 정현경 CFP(국제공인재무설계사)
▲ 정현경 CFP(국제공인재무설계사)

                   <약력>

       한성대학교일반대학원 박사

 경희대학교 경영대학원 경영학 석사

        경희대학교 경영학 학사

      (사)청년지식융합협회 회장

          ㈜굿위드연구소 이사

          굿위드아카데미 원장

         저서 ‘경제야 다시 놀자’

      충청일보 ‘경제야 놀자’ 연재

 

 

 

 

※외부기고는 본지의 편집방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저작권자 © 충청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