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대통령이 지난 13일 전격적으로 검찰인사를 단행했다.

이번 검찰 인사는 이원석 검찰총장이 윤석열 김건희 여사 의혹에 대한 엄정수사를 선언한 지 11일 만에 나온 것이다. 그런 까닭에 일각에선 이번 인사를 윤의 경고메시지라고 지적하기도 한다.

법무부는 이날 대검 검사급(검사장) 39명에 대한 신규보임과 전보 27명에 대한 인사를 16일자로 시행했다. 신임 서울중앙지검장에는 이창수 전주지검장이 임명됐고, 송경호 서울중앙지검장은 부산고검장으로 발령났다. 송 지검장의 인사는 외형상으로 보면 승진 인사지만, 김건희 여사에 대한 본격적인 수사를 앞 둔 상황이라 좌천의 성격이 짙다는 분석이다.

송 지검장은 수사팀 의견을 들어 김 여사 소환 조사에 긍정적이었다고 전해진다. 야권에선 김 여사 소환 조사를 두고 약속 대련이라는 부정적 입장을 보이기도 했지만, 그럼에도 김 여사의 소환이라는 상황은 윤 대통령에게 매우 큰 부담이었던 것이 사실이다.

더욱이 검찰은 김 여사의 소환 조사에서 명품백 수수 의혹뿐만 아니라 도이치모터스 주가조작 의혹까지 들여다 볼 계획이었다고 한다.

서울중앙지검 차장검사 라인도 전원 물갈이 됐다. 검사장 승진 형식으로 전보됐지만 차장검사 4명 중 3명은 임명 8개월 만에 자리를 옮기게 됐다. 통상 검사의 보직 임기가 2년인 것을 감안하면 이례적이다.

고위 간부의 기습 인사에 검찰은 술렁이고 있다. 김건희 여사 수사지휘 라인이 전원 교체됐고, 이원석 검찰총장의 참모진도 대폭 물갈이됐기 때문이다. 법조계 안팎에선 총장 나가라는 얘기로 해석하기도 한다.

김주현 민정수석이 임명된 지 7일 만에 단행된 인사라는 점도 공교롭다는 게 검찰 안팎 반응이다. 대통령실은 김 수석 임명을 민심 청취 강화 차원이라고 설명했지만 김 여사를 겨누고 있는 검찰 수사에 대한 압박 카드로 썼다고 보기 때문이다.

야권은 크게 반발했다.

더불어민주당 박주민 의원은 김건희 여사 특검을 방어하기 위한 사전 작업이라고 주장했다.

그는 또 수사가 약속대련일 경우에는 합이 잘 맞는 사람들끼리 해야 사고가 안 난다면서 총선 이후 총장이 뭔가 해보려고 했던 그 상태보다도 더 안전한 상태를 구축하기 위한 작업이라고도 했다.

여당에서조차 국민들이 대통령에 속았다는 느낌이었을 것이란 말이 돌았다. 국민의힘 일각에선 국민 눈치 좀 봤으면 좋겠다”, “지혜롭지 못하다라는 등의 불만이 속출했다고 한다.

그만큼 이번 인사에 대한 평가는 여야를 가리지 않고 좋지 못하다.

패싱당한 이 검찰총장의 속내는 착잡할 수밖에 없다.

이 총장은 지난 14일 서울중앙지검 지휘부가 전부 교체된 검찰 고위직 인사에 대해 인사는 인사이고 수사는 수사라고 말했다. 인사에 총장 의사가 반영됐느냐는 취지의 질문엔 답변 대신 총 12초가량 침묵하며 불편한 심기를 숨기지 않았다.

이번 검찰 인사는 김건희 방탄 인사라는 지적에서 자유롭지 못한 까닭이다. 게다가 신임 중앙지검장은 윤 대통령의 입이라는 평을 들었던 이창수 전주지검장이 임명됐다.

인사가 만사라고 한다. 여러모로 이번 인사는 매우 부적절해 보인다.

저작권자 © 충청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