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호진 국가안보실장은 23일 KBS에 출연해 "러시아가 앞으로 어떻게 나오느냐에 따라 우크라이나에 대한 우리의 무기 지원 조합이 달라질 것"이라고 러시아에 경고장을 날렸다.

장 안보실장은 이어 "우리가 어떤 무기를 제공할 것이냐 하는 것은, 살상무기든 비살상무기든 여러 단계의 조합을 만들 수 있다"며 이같이 말했다. 

이날 장 안보실장의 발언은 지난 21일 우리 외교부가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북한을 방문해 북·러간 상호군사지원을 부활시킨 군사협약을 체결한데 대해 우리 외교부가 주한 러시아 대사를 초치해 북한과의 군사협력을 중단하라고 촉구하자 러시아가 반발한데 따른 재반박으로 해석된다.

같은 날 장 안보실장은 군사동맹에 준하는 러·북의 '포괄적 전략 동반자 관계'에 대해 규탄하며 "우크라이나에 대한 무기지원 문제는 재검토할 예정"이라고 밝힌 바 있다. 살상무기 지원과 러시아 본토 공격에 사용하는 것도 허용할 수 있다는 경고였다.

주한 러시아 대사 초치 및 장 안보실장의 경고 발언 후 베트남으로 이동한 푸틴 대통령은 한국이 으크라이나에 살상무기를 공급하다면 아주 큰 실수가 될 것이라고 강하게 경고하고 나섰다.

이러한 러시아의 도발적 발언의 연장선상에서 나온 장 실장의 맞대응하는 강경 발언으로 한러관계가 소련 붕괴 후 수십년간 이어온 협력 모드에서 급격히 냉각될 것으로 관측된다.

러시아가 전세를 역전시킨 포탄 보급을 해준 북한에 대한 보답으로 첨단 군사기술 지원을 주저하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이에 따라 한국도 우크라이나에 미국 동맹국들과 보조를 맞춰 러시아군을 격퇴시킬 살상무기 지원 수량과 수준이 점점 확대될 가능성이 크다.

장 안보실장은 이날 "우리가 어떤 무기를 제공하느냐, 살상무기든 비살상무기든 기술적 진보 면에서 여러 단계의 조합을 만들 수 있다"고 첨단 무기 지원 가능성도 시사했다.

이어 장 실장은 "러시아가 만약 정밀무기를 북한에 제공한다면, 우리가 더 이상의 어떤 선이 있겠느냐"고 러시아에 대한 경고를 발하는 한편, "국민의 여론도 그렇고, 그런 부분은 러시아 측이 고려할 필요가 있다"고 러시아측의 자중을 요구하기도 했다.

/서울=이득수 기자

저작권자 © 충청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