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청권 28개 시·군 중 소멸위험지역이 75%를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같은 수치는 지역 발전에 저해 요인으로, 지역의 존립여부까지 우려되는 매우 심각한 수준이다.

한국고용정보원 ‘지역산업과 고용’ 여름호에 따르면 지역별 소멸위험지수는 충남이 0.464, 충북이 0.487로, 전국 평균인 0.615보다 크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세종이 1.113으로 가장 낮았고, 대전이 0.736로 그 뒤를 이었다.

소멸위험지수는 20~39살 여성 인구수를 65살 이상 고령인구 수로 나눈 값으로, 이 값이 1.5 이상이면 소멸 저위험, 1.0~1.5이면 보통, 0.5~1.0이면 주의, 0.2~0.5면 ‘소멸 위험’, 0.2 미만은 ‘소멸 고위험’ 지역으로 분류한다.

수치가 낮을수록 인구소멸 위험이 더 크다는 이야기다.

충북은 11개 시·군 중 9개 시·군이 ‘소멸 위험’ 단계에 진입한 것으로 나타났다. 게다가 괴산·단양·보은·영동·옥천은 ‘소멸 고위험’ 지역으로 분류됐다.

음성·증평·제천·충주는 ‘소멸 위험’ 단계에 들어선 것으로 확인됐고, 증평은 지난해 3월 이후 처음으로 진입했다.

충남은 15개 시·군 중 12개 시·군이 ‘소멸 위험’ 단계에 진입한 것으로 조사됐다. 부여·서천·예산·청양·태안 등 5개 군이 ‘소멸 고위험’으로 나타났다. 공주·계룡·논산·당진·보령·서산·홍성 등 7개 시·군은 ‘소멸 위험’ 단계에 진입했다.

반면에 정부 부처가 대거 이전한 세종은 주민 평균 연령 38세로 전국에서 가장 젊고, 소멸 위험도가 전국 17개 시·도 중 가장 낮았다.

‘인구소멸 위험지역’은 대한민국 행정구역 중 원주민 및 거주자가 감소한 영향으로 인구가 소멸돼 사실상 지역 자체가 사라질 수 있는 곳을 말한다.

지역 인구가 감소하는 이유는 여러 가지가 있다.

그 지역의 사회나 집단 등에 익숙하지 않아 살아가는데 적응이 되지 못해서일 수도 있고, 자녀 학군이 맞지 않거나 서울과 수도권 등 고학군 지역으로의 편입을 희망하기 때문일 수도 있다. 수입이 적어서일 수도 있고, 지역 내에 의료시설이나 교육시설, 문화시설이나 편의시설 등이 부족해서일 수도 있다.

그러니 남아있는 이들은 대부분 노인들이다. 인구 생산 능력은 점점 떨어지고, 그 지역은 초고령화로 급격히 진행된다.

무엇보다 인구 감소 원인 중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것은 비혼과 저출산 등이다.

일단 낳으려는 사람이 크게 줄어드니 인구 증가는커녕 확연한 감소만 심화될 뿐인 것이다.

인구소멸 위험군에 들어간 지역들은 저마다 인구를 늘리기 위해 귀농·귀촌 정책이나 각종 복지정책과 문화시설 확충, 관광 인프라 사업 등을 통해 극복하려고 노력한다.

임산부로 있는 여성이나 부부에게는 행정적인 복지지원책과 장려책을 통해서 안정적인 생활을 할 수 있도록 하고 신생아에 대해서도 지역의 행정차원에서 육아 및 교육지원에 힘쓰려고 하고 있다.

그러나 정부와 지자체들이 인구소멸을 막기 위해 갖은 노력을 하고는 있지만 사실상 역부족이다.

인구가 국력인 시대에서 국민적 의식 개선이 선행돼야 한다는 이야기다.

저작권자 © 충청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