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통령은 최근 일부 언론에 '정부가 대통령 퇴임 후 사저 경호시설 신축에 3년간 140억대 사업비를 책정했으며, 전임 대통령과 비교해 2배가 넘는다'고 보도한데 대해 "퇴임 후 사저 경호경비시설 관련 비용은 통상 임기 3년 차에 다음 해 예산에 반영하며, 잠정 추산된 금액으로 확정된 것이 아니다"라고 밝혔다.

대통령실은 5일 출입 기자들에게 보낸 문자 메지시를 통해 "사저 경호시설은 국유재산 관리기금을 통해 관리 및 보유되는 국가자산입니다. 사적 용도가 아니다"라며 이같이 해명했다.

앞서 한겨레신문은 이날 최민의 더불어민주당 의원실이 기획재정부로부터 받은 '2025년도 예산안 및 기금운용계획안 사업설명자료'를 통해 윤석열 대통령의 퇴임후 사저의 경호시설 신축에 3년여에 걸쳐 140억원을 투입하며, 이는 전임 대통령들에 비해 2배가 넘는 액수라고 보도했다.

이에 대해 대통령실은 "사업비가 역대 대통령보다 큰 것은 부지 비용의 경우, 주로 지방에 사저를 둔 역대 대통령과 달리 부지가 서울이나 경기에 위치할 가능성을 고려해 수도권 부지 단가를 잠정 반영했기 때문"이라면서, "오히려 부지면적은 과거 사례(박근혜, 문재인 前 대통령) 대비 절반 수준이며, 건축 비용은 전임 대통령과 비슷하다"고 설명했다. 

이어 "경호경비시설 부지 매입 및 건축 비용 등은 정부 규정 지침에 따른 단가를 토대로 물가 상승분을 반영했고, 그 외 공사비 등은 전임 대통령 경호시설 규모와 정부 공통 기준을 적용해 산정했다"며 "아직 사저 위치가 정해지지 않았기 때문에, 향후 결정될 경우 세부 예산안이 추가 조정될 예정"이라고 덧붙였다.

한편, 야당은 "대규모 세수 결손으로 인한 긴축 기조 속에 '대통령 보위 예산'이 과도하게 책정됐다"면서 "서초동 고급 주상복합 아파트 아크로비스타에 거주하던 윤 대통령이 청와대를 버리고 나와 420평 규모의 한남동 외교부 장관 공관을 약 15억여 원을 들여 리모델링해 살다가, 퇴임 후에도 강남 고급아파트 수준의 주거지를 선택하려는 것 아니냐"고 공세를 펴고 나섰다.

/서울=이득수 기자

저작권자 © 충청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