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물가가 심상찮다. 추석명절 기간이야 특수 때문이라고 자조하며 넘겼는데, 명절이 지난 후에도 여전히 고공행진이다. 가뜩이나 주머니사정이 좋지 않은 서민들은 울상일 수밖에 없다.

특히 채소 가격이 높다.

김장철을 앞두고 김장 물가가 비상이 걸릴 수 밖에 없다. 정부는 최근 물가 안정으로 소비 회복 조짐이 나타나고 있다는 평가하고 있지만 과일·채소류 상승세가 계속되며 서민들이 느끼는 체감물가는 여전히 정부의 주장과는 거리가 있다.

지난 22일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에 따르면 지난 20일 기준 배추 가격은 포기당 8989원을 기록했다. 전월 6463원 보다 39.1%, 전년 5509원 보다 63.2% 높은 수치다. 추석 전 포기당 최고 150000원까지 거래된 것에 비해 다소 내렸지만 여전히 높은 시세다.

시금치도 100g3697원으로 전월 2477월 보다 49.3% 높았고 전년 2511원 보다 47.2% 올랐다. 열무는 15430원으로 전월 4387원 보다 23.8%, 전년 4157원 보다 30.6% 높은 가격으로 거래됐다. 무 역시 1개당 3909원으로 전월 3156원 보다 23.9%, 전년 2313원 보다 69% 올랐다. 모두 다 오른 품목들만 보인다.

폭염으로 인한 생산량 감소가 가장 큰 원인이다.

여기에 더해 추석 성수기에 진행한 정부와 유통사의 할인 지원이 종료되면서 국민이 체감하는 장바구니 물가는 더욱 치솟았다.

통상적으로 볼 때 채소류 가격은 추석을 앞두고 성수품 수요가 증가하며 값이 오르다 명절 이후 하락하는 경향을 보인다. 그러나 올해는 9월 중순을 넘는 시기까지 늦더위까지 지속됐던 탓에 치솟은 가격이 내려올 줄 모르는 것이다.

정부는 이달 말부터 채소류 공급량이 증가하면서 가격이 점차 안정화될 것으로 보고 있다. 농또 소비자 가격 부담을 완화하기 위해 대형마트 등에서 15개 품목에 대해 최대 40% 할인행사를 추진했다.

그럼에도 정부의 지난 정책이 입길에 오르고 있다.

윤석열 대통령이 지시한 장바구니 물가 안정 대책에 의료계 집단휴진 현장조사’, ‘반도체 공정 입찰담합 제재와 같은 현실과 동떨어진 대책이 담겼던 것으로 파악됐기 때문이다.

이 지시는 4·10 총선을 약 한 달 앞두고 대파 875원 발언이 나온 물가 점검 행보 직후 열린 회의에서 나왔다고 한다. 윤 대통령은 지난 318일 민생점검대책회의를 열고 장바구니 물가 안정을 위한 특단의 조치 시행을 지시했는데, 의료계 집단휴진에 대한 현장조사 항목 등 장바구니 물가와 무관한 것으로 보이는 내용이 다수 포함됐다는 것이다. 그러니 정부 정책에 서민들이 신뢰를 주지 않는 것이다.

그나마 위안이라면 지역사랑상품권 활성화법이 본회의를 통과했다는 것이다. 청주 서원구가 지역구인 이연희 의원의 1호 발의법안이다. 이 법안은 국가의 지역사랑상품권 지원을 의무화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법안이 시행되면 지역사랑상품권 지원으로 소상공인과 시민들에게 혜택이 돌아갈 수 있다. 또 내수경제를 진작시키고 지역경제와 골목상권을 활성화시키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서민이 느끼는 체감물가는 실질적인 경제지표다. 서민이 고물가에 허덕이지 않아야 국가의 경제도 기반이 견고해 질 수 있다.

저작권자 © 충청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