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대 임금근로자의 비정규직 비율이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 청년 4명 중 1명은 불안정 노동에 노출돼 있다는 이야기다. 매우 우려되는 부분이다.

비정규직 비율이 최고치를 기록하게 된 원인은 10년간 시간제 비중이 2배로 늘어난 탓이 크다.

지난 27일 통계청 국가통계포털에 따르면 지난 8월 기준 20대 임금근로자 가운데 비정규직은 1461000명이었다. 20대 임금근로자 3389000명 중 43.1%를 차지하는 수치다. 이는 관련 통계 작성이 시작된 2003년 이후 8월 기준 역대 최고치다.

20대 비정규직을 8월 기준으로 보면, 20141069000명에서 20171157000, 20201283000, 지난해 1423000명 등이었다.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 것이다.

이에 비해 정규직은 같은 달 기준 20142275000명에서 20182353000명까지 잠시 증가했다가 20202116000명 등으로 감소해왔다. 올해는 1929000명으로 통계 작성 이후 처음 200만명을 밑돌았다.

10년 동안 추이를 보면, 정규직은 346000명 줄었는데 비정규직은 392000명 늘어난 것이다.

MZ세대들의 성향도 이 같은 비정규직 확산에 한몫했다. ‘일하고 싶을 때만 한다는 성향이 이들에겐 짙기 때문이다.

20대 청년 전체 비정규직 가운데 비정규직 일자리를 자발적으로 택했다는 비중은 66.6%, 이 또한 관련 통계 작성 이후 가장 높았다. 자발적으로 비정규직을 선택하는 경우가 늘고 있는 것이다.

고용 시장이 신입보다 경력직을, 정기 공채보다는 수시 채용을 선호하는 경향도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보인다. 들어갈 문이 좁으니 청년들은 그 비좁은 문을 통과하기 위해 관련 경력을 쌓으려 하는 것이고, 그러니 비정규직에 이전보다 많이 뛰어드는 것이다.

표면적으로 보면 이 같은 결과는 근로의 불안정성보다는 유연성이 부각되는 양상으로 보일 수도 있다. 원하는 시간에, 원하는 만큼의 일을 하고자 하는 MZ세대들의 성향이 반영된 것이란 해석이 그것이다.

그러나 이는 청년세대 개개인뿐만 아니라 국가적인 차원에서도 매우 우려되는 현상이라 할 수 있다.

일자리 질의 저하로 청년 개개인의 역량을 최대화시키지 못한다는 점도 있는데다, 정규직과 임금격차로 인한 상대적 상실감 또한 무시할 수 없다. 동일한 일을 해도 동일한 임금을 받지 못하기 때문이다.

올해 우리나라 비정규직 근로자가 역대 최대 규모로 불어난 것으로 조사됐는데, 비정규직과 정규직의 임금 격차는 175만원에 육박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2004년에 616000원이었던 것을 감안하면 20년 만에 3배 가까이 커진 것이다.

청년 고용 악화는 경제 저성장으로 인해 질 좋은 일자리가 줄어든 결과다. 여기에 신규 채용을 꺼리게 만드는 경직된 고용 제도와 청년들에 대한 정책적 배려가 소홀한 부분 또한 적지 않다. 구조적 원인을 면밀하게 파악해 유연한 노동정책의 수립이 필요하다.

저작권자 © 충청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