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통령실은 7일 오전 10시에 열리는 윤석열 대통령의 대국민담화에 이은 기자회견에 대해 시간제한을 두지 않고 모든 질문을 다 받고 대답하겠다고 밝혔다. 이른바 '끝장 회견'을 하겠다고 예고한 셈이다.
대통령실 핵심 관계자는 5일 용산 대통령실에서 기자들과 만나 "모든 궁금한 것을 다 질문해달라, 시간 제한을 두지 않고 질문에 답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윤 대통령은 지난 5월과 8월에 이어 당초 이달 말 쯤에 국정현안에 대한 입장을 밝히는 자리를 진행할 예정이었으나, 20여 일 이상 일정을 앞당긴 이유는 김건희 여사를 둘러싼 각종 의혹들이 확산되면서 민심이 극도로 악화돼 있고, 이와 연관해 여당인 국민의힘 한동훈 대표와의 관계도 나날이 악화되어 가는 상황인데다, 야당이 관련 특검과 임기단축 등을 내걸고 장외집회를 본격화하고 있는 상황을 감안한 조치로 보인다.
한마디로 대통령실이 민심의 악화와 정치권과의 대립이 심상치 않은 수준에 도달한 것을 인지하고 이날 대국민담화 및 기자회견을 서둘러 마련한 것으로 풀이된다.
용산 핵심 관계자는 기자회견에 대한 이날 설명에서해 "든 것을 묻고 답하는 시간"이라고 여러차례 반복해 강조했고, 나아가 "민이 기대하는 말을 들을 수 있게 될 것"이라는 멘트까지 내놓았다.
이 관계자는 '국민이 원하는 말을 한다면 대국민 사과를 한다는 것이냐'는 질문에는 '일단 당일을 지켜보자'는 취지로 답변했다.
이날 담화 및 기자회견은 현 정권 출범 반환점을 돈 바로 다음날이어서 더욱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2년 반을 지난 현재 상황은 윤 대통령이 취임사에서 강조한 '공정과 상식', '정의와 법치'에 기반한 나라가 되었는지에 대한 평가는 최근의 윤대통령 국정수행 지지율이 10%대로 내려간 것을 비춰볼 때 회의적이라는 평가가 중론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기자회견에서 윤 대통령의 발언을 통해 용산이 생각하는 국민들이 원하는 답변과 진정으로 국민들이 원하는 대통령의 말이 서로 다르다는 것이 드러날 경우 회견의 실패일 뿐 아니라, 정권 후반기조차 위험에 봉착할 가능성이 높다는 전망도 나오고 있다.
정치권에서는 윤 대통령에게 이날 회견이 위기로 치닫고 있는 현 정권의 운명을 되돌릴 수 있는 거의 마지막 전환점이 될 수도 있는 동시에, 돌이킬 수 없는 파국으로 급속히 빠져드는 운명의 날이 될 수도 있다고 지적하고 있다.
그간 실시한 몇 번의의 담화 기자회견에서 보여준 것 처럼 자기변명으로 일관해 '맹탕' 회견으로 끝난다면 하지 않으니만 못한 회견이 되고, 그 후 폭풍을 감당하지 못하게 될 것을 우려하는 말이다.
특히 여권에서는 윤 대통령이 생각하는 사과와 반성 표현을 훨씬 뛰어넘는 '특단'의 결과물을 내놓아야 민심을 움직일 수 있을 것이라는 목소리가 높다.
/서울=이득수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