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살며생각하며] 박효영 궁중기록화가

‘상당산성도(上黨山城圖)’는 조선 후기 무신인 류억(1796~1852) 선생 때 제작된 것으로 알려졌으며, 청주 상당산성과 인근 낭성면의 모습을 한 눈에 볼 수 있어 역사적, 지리적 사료의 가치가 매우 높은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 상당이라는 명칭은 백제 때 청주의 지명인 상당현에서 유래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최초 토성으로 만들어진 성을 조선시대 숙종 때 석성으로 개축하였다. 성 안에는 운주헌 등 관아와 서장대와 동장대를 비롯해 수첩군관청(守堞軍官廳), 재가군관청(在家軍官廳), 군기고(軍器庫), 화약고(火藥庫) 등 전시산성의 위용이 그대로 표현돼 있다.

성 안에는 5개의 연못이 있다고 기록되어 있는데, 최근 이 지역에서 발굴된 연못터와 산성도에 기록된 구룡사, 남악사, 장대사 등 조선시대 사찰 3곳에서 식수나 화재 시 재난 대비용으로 쓰였던 연못의 위치가 유사한 것을 확인하여 조선 후기에 그려진 상당산성도가 사실에 입각해서 그려진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현재 원본은 전남 구례 운조루에 보관되어 있다. 하지만 상당산성도는 ‘문화 류씨’ 개인 소장품이다 보니 저작권 등의 이유로 청주시민이 쉽게 접근할 수가 없었다. 이를 안타깝게 여긴 박효영 명인이 상당산성도를 완벽하게 재현하기 위해 8개월 동안 10여 차례나 구례 운조루를 방문하여, 원본과의 꼼꼼한 대조작업을 거쳐 재현의 진정성을 꾀했다. 2017년, 완성된 2점의 지도를 청주시와 운조루에 기증한 바 있다.

류억 선생은 순조 25년(1825년) 무과에 급제해 선전관 등을 거쳐 충청도 병마절도사 청주우후를 지냈다. 류억 선생에 관한 일화로는 이웃 사랑을 실천한 문화 류씨 집안의 ‘타인능해’ 쌀 뒤주 이야기로 유명하다. 문화 류씨가 대대로 살았던 운조루 곳간채에 있는 쌀 뒤주에는 “다른 사람도 열 수 있다”는 뜻에 따라 누구나 와서 쌀을 퍼갈 수 있었다. 어느 날 류억 선생은 뒤주에 쌀이 남아있는 것을 보고 며느리를 불러, “쌀이 남은 것은 베풀지 않은 것이니 당장 주민에게 나눠라. 그믐날(월말)에는 뒤주에 쌀이 없도록 하라”고 말했다.

상당산성은 과거에는 적으로부터 청주를 지켜준 고마운 성이며, 현재는 시민들과 함께 그 숨결을 느끼면서 평화와 자유의 공간으로 재탄생하였다. 옛 지도를 기반으로 과거 모습을 재현하며 미래에도 사랑받는 산성으로 지속되기를 바란다.

 

 

 

저작권자 © 충청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