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조차장의 지하화 사업이 정부의 철도 입체화 통합개발 1차 사업 대상에 선정됐다.

정부는 19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민생경제점검회의에서 개발 사업을 확대해 지역 경제를 활성화하겠다며 대전과 부산, 안산을 철도 지하화 선도 사업 대상지로 발표했다.

철도 지하화 등 사회기반시설(SOC) 사업을 추진해 건설경기를 뒷받침한다는 게 정부 계획이라고 한다.

조단위의 사업 자금이 실제로 투입되기까지는 3년 이상 소요되리라 예상되지만 정부가 철도 지하화 특별법 제정 이후 사업 시행에 본격적으로 나섰다는 점에 의미가 있다.

대전의 경우 대규모 철도 정비부지인 조차장을 인근 신탄진으로 옮기고 경부선 선로 2.4㎞ 구간을 데크로 덮어 개발한다.

조차장 이전 등으로 확보하는 38만㎡에는 업무·복합용지를 집중 배치, 대전의 새로운 성장 거점으로 키우며 총 사업비는 1조4000억원이다.

이 부지에는 청년창업지구, 빅테크, 미디어 등 정보통신기술(IT) 관련 특화지구 등이 조성된다.

대전산업단지와 대덕연구개발특구의 인프라를 적극 활용, 지역의 지속적인 발전을 도모하는 공간으로 재창조할 계획인 대전시는 올해 상반기 기본계획 수립에 착수할 예정이다.

현재 대전 도심은 조차장으로 인해 서쪽 산업단지·대화동과 동쪽의 중리동이 단절된 상태다.

그동안 대전조차장은 도시 팽창으로 인한 도심 내 동서 단절, 개발 제한 등 때문에 인근 지역까지 슬럼화가 가속됨에 따라 이전 및 재개발 방안 등에 대한 논의가 꾸준히 진행돼왔다.

앞서 2021년 2월 3일엔 충청권 광역철도의 1단계에 대전조차장역도 포함하자며 타당성 조사에 들어갔으나 그 결과 비용 대비 편익(B/C)이 0.44에 그쳐 사실상 무산되기도 했다.

철도 지하화 선도 사업지로 선정한 3개 지역은 시행착오를 겪더라도 무리가 없는 적정 규모이며 재원이 부족할 경우 지자체가 보조하겠다는 약속을 받은 곳이라고 국토부는 설명했다.

철도 지하화는 특별법에 따라 정부 재정 지원 없이 철도 상부와 주변 부지를 통합 개발해 발생하는 이익으로 비용을 충당하게 돼 있다.

상부 개발은 지자체가 담당하기 때문에 국토부는 지자체의 재원 마련 계획과 부담 의지를 주요하게 평가했다.

여담으로, 대전조차장역은 핵심 노선이 합류하고 갈라지는 역이므로 만약 여기서 열차 사고가 발생하거나 역이 적의 공격을 받으면 수도권과 한반도 남부와의 철도교통이 단절된다고 한다.

다시 말해 한국 철도망의 대동맥 역할을 하는 경부선과 호남선의 분기점이기 때문에 중요도가 높다.

그 때문에 냉전 시대에는 소련의 핵 공격 목표중 하나로 설정됐다는 설이 있기도 하다.

이번에 철도 지하화 선도 사업지가 발표됐지만 실제로 첫 삽을 뜨는 모습을 볼 날은  멀었다.

이같은 대형 개발 사업은 계획을 세우는 데만 최소 3년이 소요되기 때문이다.

상부 개발을 통한 부지 조성과 분양은 대전의 경우 2036∼2037년 쯤이 되리라 예상된다.

대전시와 대덕구의 입장에서는 지역의 숙원이 해결되는 일이기 때문에 환영 일색이다.

국내·외적으로 어려운 일들이 계속되는 상황에서 모처럼 지역에 반가운 소식이 전해졌다.

대전조차장 지하화가 큰 탈 없이 안전하고 순조롭게 마무리되길 기원한다.

저작권자 © 충청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