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영 위기 타개 위해 437억원 규모 지원…8만6000여 소상공인 혜택
신청 절차 간소화·속도감 있는 집행으로 체감도 높여
지원금 한시라도 빨리 전달될 수 있도록 전력

경기침체와 고물가, 고금리의 삼중고로 경영난에 시달리는 소상공인들에게 대전시가 즉각적인 지원으로 숨통을 틔운다.

대전시는 소상공인의 빠른 경영 안정화를 위해 사업비 437억3000만원 규모의 긴급 지원금을 마련하고, 이 중 시비 351억1000만원을 원포인트 추가경정예산으로 긴급 편성해 즉각 집행에 들어갔다. 

전년도 매출액 1억400만원 미만인 지역 내 약 8만6400개 업체를 대상으로, 사업장당 최대 50만원을 지원하는 것이 핵심이다.

이번 지원금은 2024년 이후 사업체 운영을 위해 지출한 임차료, 유류비 등 경영비용 보전에 사용할 수 있다. 매출액 산정은 국세청 부가가치세 과세표준증명원 기준으로 적용되며, 올해 개업한 사업장은 월평균 매출을 연간으로 환산해 대상 여부를 판단한다.

다만 공고일 기준으로 휴·폐업 중인 사업자, 전년도 매출액이 없는 사업체, 비영리 단체, 사행성·유흥업종 등 소상공인 정책자금 지원 제외 업종은 이번 지원에서 제외된다.

지원 신청은 2월 21일~3월 26일까지 대전신용보증재단 온라인 시스템(hope.sinbo.or.kr)을 통해 24시간 접수 가능하며, 초기 혼잡을 막기 위해 21~26일까지는 사업자등록번호 끝자리 홀짝제를 적용한다. 온라인 이용이 어려운 디지털 취약계층이나 공동대표 사업자는 28일부터 대전신용보증재단 6층에서 평일 대면 접수가 가능하다.

신청 절차는 휴대폰 본인 인증→신청서 및 증빙자료 제출→적격 심사→2주 이내 지원금 지급 순으로 진행된다. 신청자 편의를 위해 접수 완료, 서류 보완 요청, 지급 결정 등 처리 단계별 문자 알림 서비스도 제공된다.

이장우 대전시장은 "소상공인은 지역 경제의 버팀목이지만, 지금은 그 어느 때보다 어려운 상황에 직면해 있다"며 "이번 지원이 사업장을 지탱하는 실질적인 마중물 역할을 할 수 있길 기대한다"고 밝혔다. 이어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속도감 있는 집행이다. 지원금이 한시라도 빨리 소상공인에게 전달되도록 전 행정력을 투입하겠다"며 "민생경제 회복을 최우선 과제로 삼아 다양한 지원 정책을 지속 확대하겠다"고 강조했다.

대전시는 이번 긴급 지원이 위기 극복의 발판이 될 것으로 기대하며, 현장의 목소리를 적극 반영해 맞춤형 지원 정책을 이어나갈 방침이다. 자세한 내용은 대전시 누리집(daejeon.go.kr)과 대전신용보증재단 홈페이지(sinbo.or.kr)에서 확인할 수 있으며, 소상공인 경영회복지원단(☏ 070-4355-4300)에 문의하면 상세한 상담을 받을 수 있다. /대전=이한영기자

저작권자 © 충청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