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스크 시각] 강일ㆍ제2사회부장

▲강일ㆍ 제2사회부장
1989년 대전시는 충남도와 분리돼 직할시가 됐다. 당시 대전시는 충남지역에 속했던 대덕군 전역을 포함해 직할시로 승격될 수 있었다. 1994년에 '직할시'란 명칭은 '광역시'로 바뀌었다.

대전직할시는 충남도에서 분리됐으나 충남도로부터 독립적 위치에 서게 됐고, 이후에 오히려 충남도 위상보다 더 높아졌다. 명칭도 충남·대전의 순서가 아니 대전·충남의 순서로 쓰인다.

초대 시장이었던 이봉학씨는 직할시로 승격된 의미를 자축하고자 관용차 번호를 승격된 해와 같은 '1989'를 사용했다. 이같은 사실을 이시장은 방문하는 어디에서나 자랑스럽게 퍼뜨리고 다녔다. 대전의 자랑스런 초대 직할시장이었다.

당시 충남과 대전으로 분리되면서 사실상 충남도에서 주도적 위치에 있던 중요 공직자는 대부분 남았다. 대전의 시세가 아직은 충남도에 비해 보잘것 없는데다 새로 출발하는 엉성한 조직에 가서 굳이 고생할 필요도 없었을 것이다.

초기와는 달리 대전으로 자리를 옮긴 공직자에게 새로운 세상이 왔다. 자신들보다 한참 높았던 공직 선배들과 직위를 같이 할 수 있게 됐다. 대전의 시세가 빠르게 확장됨에 따라 대전 공직자들의 직급과 승진도 함께 가파르게 올랐다.

반면 충남도는 우수한 인재들 덕에 인사 숨통이 트이질 않았다. "나도 대전으로 옮겼으면 벌서 국장이 됐을 텐데"라고 뒤늦게 한 숨 짓던 충남도 인사들이 적지 않았다는 후문이었다.

이 상황과 똑같은 전철을 밟은 곳은 충남 교육청과 대전시 교육청이다. 똑같이 공직에 발을 들여놓은 동기가 대전시에서는 국장급에 가 있는 반면, 충남도에서는 그 동기생이 아직도 과장급을 전후에서 허덕(?)이고 있다. 인간만사새옹지마(人間萬事塞翁之馬)라는 성어가 꼭 들어맞는 상황이다.

청주와 청원간의 통합이 최근 몇 년간 논의되고 있으나 결론을 못내고 있다. 아니, 통합을 않기로 결론을 냈으나 아직 수면아래서 잠복중이다. 언제든지 다시 수면위로 올라올 태세다. 심심치 않게 통합에 관한 이야기가 회자된다.

이는 청주와 청원의 통합이 상생의 길이라는 데 이의가 없음을 반증한다. 단지 통합으로 가기까지 넘어야 할 산과 건너야 할 강이 많을 뿐이다. 통합의 당위성은 이미 확보했다고 봐야한다. 물론 반대론자들에겐 상당히 불쾌한 이야기지만….

통합의 당위성은 간단하다. 과거 정부에 의해 광역시와 도(道)를 분리했지만 2000년에 들어와서는 다시 시·도 통합이 되어야 한다는 논리가 힘 받고 있다. 이 또한 당위성은 인정되지만 이해 당사자들이 풀어야 할 숙제로 진척되지 못하고 있다. 앞으로도 풀지 못할 것이라는 견해가 지배적이다.

청주와 청원이 통합하면 경쟁력이 강화된다는데 이의를 달지 않는다. 또 일관성 있는 정책과 행정으로 균형적 발전을 이룰 수 있다.

한 개의 주민 혐오시설을 청주와 청원에 각가 설치하지 않아도 된다. 경쟁력 있는 대기업이 청주에 들어선다면 그 혜택을 청원에서도 볼 수 있다.청원주민으로선 세금이 올라간다고 걱정할 수 있으나 침소봉대한 감이 적지 않다.

청주·청원 통합의 걸림돌은 통합의 직접적 이해 당사자 들이다. 충남과 대전이 분리됐을 때 직접적으로 혜택을 봤던 이해 당사자 층이 거꾸로 청주와 청원의 통합에선 반대 입장에 서고 있지는 않을까 추정한다.

2005년 9월말 청주와 청원의 통합에 대한 주민투표를 실시했다. 당시 청주는 찬성 약 91%, 반대 9%의 투표율을 보여 압도적 찬성입장을 보였다. 청원은 찬성, 반대가 대략 47.5대 53.5%로 찬성과 반대가 거의 양분 되었다.

2년이 지난 9월쯤 다시 통합투표를 하면 어떤 결과가 나올까 궁금하다.

저작권자 © 충청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