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위기경보 ‘심각’ 단계 격상, 공무원 1/4 ‘비상근무’ 돌입

▲ 25일 오후 정부가 산불재난 국가위기경보를 ‘심각’ 단계로 격상하자 김문근 군수가 산불 예방에 군정을 집중하도록 ‘군수 특별지시’를 시달하고 있다. 사진=단양군제공
▲ 25일 오후 정부가 산불재난 국가위기경보를 ‘심각’ 단계로 격상하자 김문근 군수가 산불 예방에 군정을 집중하도록 ‘군수 특별지시’를 시달하고 있다. 사진=단양군제공

산림청이 25일 오후 4시 전국 모든 지역에 대해 산불재난 국가위기경보를 ‘심각’ 단계로 격상되자 이날 충북 단양군이 산불 예방에 군정을 집중하도록 ‘군수 특별지시’를 시달했다.

김 군수는 “최근 잇따른 대형 산불과 건조특보, 강풍이 지속되고 산지 비율이 가장 높은 충북지역 특성에서 볼 때 산불예방의 중요성이 어느 때보다도 긴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에 따라 군은 가용 가능한 모든 인력과 장비를 총동원해 산불 예방 활동과 발생 시 신속한 초동 대응이 이뤄질 수 있도록 철저한 대응 체계를 구축키로 했다.

군은 산불 발생 산불진화대와 감시원, 진화 장비는 물론 국유림관리소와 산림조합 등 유관기관의 인력과 자원까지도 신속히 투입한다는 방침이다.

초기 진화의 중요성을 고려해 지상 진화 인력의 조기 투입이 강화되며 국가위기경보가 ‘심각’ 단계로 격상됨에 따라 관련 공무원의 1/4 이상이 비상근무에 돌입한다.

특히 안전 확보를 위해 장비 착용과 안전 수칙 준수, 사전 예방조치를 대폭 강화한다.

농업 부산물과 각종 소각 행위를 엄격히 통제하고 위반 시 과태료 부과 등 강력한 행정 조치를 시행한다.

등산로 등 산불 취약지를 중심으로 입산 통제와 순찰 활동을 강화한다.

이날부터 오후 6시까지인 산불감시원 근무시간을 오후 8시까지 두 시간 연장 근무한다.

산불 감시카메라와 상황관제시스템을 활용한 모니터링도 강화되며 산불 신고 시 유관기관 간 신속한 정보 전파와 초기 대응을 통해 골든타임 확보에 집중한다. /단양=목성균기자

저작권자 © 충청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