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4일 헌법재판소가 전원일치 의견으로 윤석열 전 대통령에 대한 탄핵안을 인용했다. 지난해 12·3 비상계엄 이후 122일만, 탄핵소추안이 접수된 지난해 12월 14일부터 111일만에 혼란이 일단락 된 셈이다.
작금의 이 사태는 윤 전 대통령의 '급발진'으로 시작됐었다. 헌재의 판단에 따르면 그는 야당을 합치의 대상으로 본 것이 아닌, '배제'의 대상으로 봤었다.
자신의 상식선 상에서 '배제'해야 할 대상들이 자신의 의견에 사사건건 반대를 외치자 대화와 타협을 통한 협치 대신 '내란 획책'이라는 프레임을 씌워 '비상계엄 선포'라는 초강수를 꺼내 들었다.
그는 군·경을 동원해 국회의사당, 언론사, 선거관리위원회를 장악하려 했었다.
지난해부터 이어지고 있는 의정갈등에 대해서도 계엄령을 통해 '전공의를 비롯해 파업 중이거나, 의료현장을 이탈한 모든 의료인은 48시간 내 본업에 복귀해 충실히 근무하고 위반시에는 계엄법에 의해 처단한다'고 표현됐다.
언론과 출판은 계엄사령부의 통제를 받아야 했고, 집회도 금지됐다.
당시 현장에 나갔던 군인과 경찰들의 소극적인 대응과 국회의 빠른 대응 덕분에 비상계엄이 해제, 최악의 사태는 벌어지지 않았지만 군부 시절을 기억하는 사람들에게는 악몽의 재림과도 같았을 것이다.
이후 윤 전 대통령에 대한 탄핵소추안이 국회를 통과하면서 약 4개월간의 국민 분열이 일어나게 됐다.
보수와 진보로 나뉜 시위대들은 생업을 멈추면서 까지 대통령 관저 인근에서 맞불 집회를 벌였고, 윤 전 대통령이 구속되자 서울서부지법에 난입해 폭동을 일으키기도 했다. 시위대를 막던 일부 경찰들은 심각한 폭행을 당하기도 했었다.
양 진영의 불화는 구속됐던 윤 전 대통령이 보석을 허가받으면서 격화됐다. 지지자들은 '죄가 없으니 풀려난 것'이라며 기세를 올렸고, 반대쪽은 '내란 우두머리를 풀어주는 것은 말도 안 된다'며 맞섰다.
이처럼 분열이 심화되면서 경제는 연일 파탄으로 치달았다.
헌재는 윤 전 대통령에 대한 탄핵안을 인용했고, 결국 그는 모든 권한을 잃고 파면됐다.
일단 상황이 마무리된 만큼 더이상 분열이 지속돼서는 안된다.
혹자는 "근 10년 내에만 보수계열 대통령 2명이 연달아 탄핵됐는데, 음모가 있는 것"라고 주장하기도 한다. 이런 주장에 힘을 빼기보다는 진영 논리 없이 서로 머리를 맞대 앞으로 우리나라가 나아갈 방향을 찾아야 한다.
추후 있을 대선에서 후보로 나설 이들은 많다. 다만 이들 모두가 우리나라의 미래나 국민을 생각한다고 보기는 어렵다.
대선을 준비하는 이들은 권력을 탐하기 보다는 국민을 먼저 생각할 때라는 점을 기억했으면 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