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5세 이상 비율 20% 돌파…전담조직·인력 확충 절실
노인 간 상호 돌봄 일자리 등 지속 가능한 대책 필요
존엄한 노후 위한 실질적 정책 실행 나서야

▲ 송재만 의원
▲ 송재만 의원

고령 인구가 빠르게 증가하는 사회 흐름 속에서, 대전 유성구의회 송재만 의원이 노인 복지 정책 전반에 대한 강도 높은 문제 제기와 함께 구체적인 대응책 마련을 촉구했다.

송 의원은 14일 열린 277회 임시회 1차 본회의 구정질문에서 "2024년 12월을 기점으로 65세 이상 인구 비율이 20%를 넘어서는 초고령 사회에 공식 진입했다"며 "이제는 행정 시스템 전반을 재정비하고 노인 중심 정책 구조를 갖춰야 할 시점"이라고 지적했다.

현재 유성구는 보건복지부의 '의료·돌봄 통합지원 시범사업'에 선정돼 다양한 맞춤형 서비스를 추진 중이지만, 송 의원은 전담 인력과 조직의 부족 문제를 짚으며 제도적 기반 강화를 요구했다.

송 의원은 "타 자치단체에 비해 유성구는 통합돌봄 담당 인력이 턱없이 부족하다"며 "지속 가능한 사업 추진을 위해서는 전담 조직 확대와 인력 충원이 선행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단기성 교육을 반복하는 데 그칠 것이 아니라, 노인 돌봄 전문 인력에 대한 중·장기 교육 체계를 갖추고, 이에 필요한 예산도 사전에 안정적으로 확보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특히 지속 가능한 노인 일자리 마련과 관련해 "건강한 노인이 돌봄이 필요한 노인을 돕는 '노노(老老)케어' 기반의 일자리는 사회적 가치와 경제성을 모두 충족시킬 수 있다"며 신규 사업 발굴과 행정의 적극적 개입 필요성을 피력했다.

송 의원은 끝으로 "노인 돌봄은 어르신들의 삶의 질과 존엄성 보장을 위한 핵심 정책"이라며 "유성구가 초고령 사회를 제대로 준비하고 대응하는 자치구가 될 수 있도록 행정의 결단과 실천이 필요하다"고 당부했다. /대전=이한영기자

저작권자 © 충청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