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월호 참사 11주기를 맞았다. 안산 단원고 학생과 교사 등 304명이 아까운 생명을 잃은 이 사고는 총체적인 안전불감증과 안전관리 부실이 부른 대형 참사였다. 그들이 안타깝게 세상을 떠난 지 10여 년이 흐른 지금 우리 사회는 얼마나 달라졌는지, 안전해졌는지 묻지 않을 수 없다.

안타깝게도 안전불감증은 여전히 우리 사회에 만연하다. 돌이켜보면 세월호 이후에도 안전불감증에서 비롯된 참사는 늘 있었다. 2016년 10월 경부고속도로 언양 분기점 관광버스 화재, 2017년 12월 제천 스포츠센터 화재, 2021년 경기 이천 쿠팡 물류센터 화재, 2022년 광주 아이파크 붕괴, 2022년 이태원 압사 사고, 2023년 오송 지하차도 참사, 올해 3월 경북·경남에서 역대 최대 피해를 낸 대형 산불까지.  굵직한 사건 외에도 연일 대형 사고가 신문과 뉴스를 통해 보도됐고 사고의 원인은 대부분 안전불감증, 관리 부실 등으로 귀결됐다.

사고 이후도 문제다. 철저한 반성과 피나는 재발 방지를 위해 노력하는 모습은 보기 힘들다. 불합리한 사회 안전 시스템을 개선하기는커녕 관계자 몇 명에게 책임을 지우는 데만 열중하는 모습을 종종 보곤한다. 사후약방문에 불과한 재발 방지 대책들도 보면 늘 부족하거나 허점이 있다. 대책을 발표한 뒤에도 대형 참사가 끊이지 않는 것을 보면 그마저도 헛구호로 불과한 듯하다.

동아대학교 대학원 재난관리학과와 긴급대응기술정책연구센터는 지난 15일 한국리서치, 씨지인사이드와 함께 '세월호 11주기 재난 안전 인식 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전국의 만 18세 이상 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4~7일 휴대전화 문자와 이메일 발송 방법으로 한 이번 조사에서 응답자 44%는 '대형 사회재난으로부터 안전하지 않다'라고 답했다. '안전하다'라고 응답한 사람은 17.6%에 그쳤다. 정부가 재난 대비를 위한 인적자원과 물적 자원을 잘 확보하는지는 각각 26.8%와 27.6%만이 '잘 확보한다'고 응답했다.

이러한 결과는 대형 사회재난에 대한 국민의 불안이 여전히 높다는 것을 보여준다.

국민은 불안하다. 정부는 안전을 최우선의 가치로 삼아 사회 전반의 시스템을 강화해야 한다. 사회 시스템이 바뀌지 않고 각자가 바뀌지 않는다면 안전불감증부터 대형 참사로 이어지는 연쇄작용을 끊을 수 없다. 관리·감독을 강화하고 대형 참사를 촉발할 수 있는 위반 행위에 대해서는 더 엄격한 잣대를 가져야 한다.

개인들도 모두 경각심을 가져야 한다. 어떤 현장에서든 ‘나 하나쯤이야’, ‘이 정도는 괜찮겠지’하는 안일한 태도를 보여서는 안 되며 스스로 안전 수칙을 철저히 지켜야 한다.

그동안 있었던 대형 참사를 반면교사로 삼아 사회에 만연한 안전불감증을 끊어내야 할 것이다.

저작권자 © 충청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