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와 단절된 삶을 살다 홀로 쓸쓸하게 숨지는 고독사가 노인·청년을 가리지 않고 나타나고 있어 보다 세심하고 촘촘한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
고독사가 사회적 문제로 부상한 지는 오래지만, 그동안 주로 홀로 사는 노인들과 중장년층에게 집중됐다면 최근 들어서는 청년층까지 나이를 가리지 않고 발생하고 있어 더욱 정교한 대책이 필요하다.
보건복지부의 2024년 고독사 사망자 실태조사 결과를 보면 우리나라 고독사 수는 2021년 3378명에서 2022년 3559명, 2023년 3661명으로 증가했다. 연령대별로는 60대가 1146명, 50대 1097명, 40대 502명, 70대 470명, 80대 이상 202명, 30대 166명, 20대 42명 순이다.
이들 중 20대 59.5%, 30대 43.4%, 40대 25.7%, 50대 14.1%, 60대 8.3%, 70대 4.9%로 20대와 30대에서 자살로 인한 고독사 비중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20·30대 고독사 사망자 중 절반이 스스로 생을 마감하고 있다는 의미다. 청년들이 차지하는 고독사 비중이 크진 않아도 이를 결코 가볍게 생각해서는 안 되는 이유다.
대전시는 청년 고독사 고위험군을 선제적으로 발굴하고 맞춤형 지원을 하기 위해 오는 5월까지 대상자 발굴조사를 추진 중이라고 한다.
이 사업은 지난 2월 발표된 '2025 고독사 예방 시행계획'의 핵심 과제로, 사회적 고립이나 정서적 단절 상태에 놓인 19~39세 청년을 조기에 발견해 관계 회복, 심리적 안정, 일상 복귀를 위한 다양한 지원으로 연계하는 것이 목표다.
대전시는 올해 초부터 방문 조사와 동의자 대상의 전화·문자 조사 등을 했지만 회신율이 저조해 애초 지난 3월까지였던 조사 기간을 연장하고 조사 방식도 바꿨다. 디지털 친화적 세대인 청년 특성을 반영해 QR코드를 활용한 모바일 자가진단 시스템을 도입했다. 청년 밀집 지역인 대학가, 원룸촌, 청년센터 등에 QR 포스터와 전단을 집중적으로 배포하고 SNS와 온라인 커뮤니티를 활용한 디지털 홍보를 하며 참여를 독려하고 있다.
대전시는 발굴 이후에도 사례관리, 치료, 사회 연결까지 끊김 없는 지원 체계를 마련한다는 방침이다.
충북 청주시는 중·장년 고독사 위험 가구의 정확한 실태 파악을 추진 중이다. 지난해 중장년 저소득 1인 가구 4739명에 대한 전수조사 계획을 세웠다. 1차로 기초생활 보장 수급자, 차상위 계층 등 저소득 1인 가구 중 60~64세에 해당하는 2006명을 전수조사한 결과 173명이 고독사 위험 가구로 파악됐다. 올해 안에 55~59세, 50~54세에 대한 전수조사를 마무리할 계획이다. 고독사를 고위험군 관리를 위해서는 한국전력공사 충북본부와 함께 ‘1인 가구 안부 살핌 서비스’도 운영하기로 했다.
이러한 고독사 예방 정책들이 효과를 거두길 바란다. 하지만 정책에는 늘 사각지대가 있었기에 우려스럽다. 그동안에도 다양한 방법과 기준으로 고독사 위험군을 찾아내려 노력했지만 단 한 가지 기준을 충족하지 못해 안전망에서 빠져 도움을 받지 못한 경우도 종종 있었다.
정부와 지자체가 힘을 모아 더욱 촘촘한 사회안전망을 만들길 바란다. 연령대별 맞춤형 정책을 개발하고 이미 내놓은 정책들의 효과를 살펴 부족한 부분은 개선해야 한다. 개인들도 무관심한 태도로 일관하지 말고 이웃들에게 관심을 두고 따뜻한 손길로 보듬어야 할 것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