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름이 다가오면서 집중호우 등 자연재난에 대한 우려도 커지고 있다. 더욱이 요즘은 이상기후의 여파로 날씨도 종잡을 수 없을 정도로 변화가 심해 더욱 철저한 대비가 필요하다.
이에 대비해 각 지자체는 여름철 발생할 수 있는 재난에 대한 대책을 마련하기 위해 분주하다.
충북 청주시는 오는 14일까지 여름철 자연재난에 대비하기 위해 지하차도, 공동구 등 도로 분야 취약시설 점검을 하고 있다.
이번 점검은 지하차도로 국토교통부 시설물 안전점검 기준에 따라 배수시설 정비 상태, 진입 차단 작동 여부, 지하차도별 담당자 지정 여부, 사고 대비를 위한 준비태세 수립 여부 등을 살피고 있다. 점검 과정에서 발견되는 지하차도 내 포트홀, 토사 퇴적, 배수로 정비 등은 즉시 보수하고 노면 재포장 등은 신속히 실시설계를 통해 보수 보강할 계획이다.
이범석 청주시장은 7일 흥덕구 강내면 석화2배수문과 오송바이오폴리스 지하차도를 등 주요 배수시설을 찾아 가동 여부 및 호우 대비 준비상황을 점검했다.
충남도는 우기 전까지 집중호우로 인한 홍수피해 예방을 위한 현장점검을 한다. 도와 시군 공무원, 관계 전문가로 합동점검반을 구성해 재해 취약시설 점검, 비상경보 근무체계 등 종합적인 대응태세를 점검하고 있다.
대전시는 15일부터 6월 18일까지 ‘자연재난 대비 안전감찰’을 실시한다.
이번 감찰을 통해 시 본청과 산하기관은 물론 5개 자치구, 공사·공단 등 전 재난관리책임기관의 대응 체계가 현장에 제대로 작동하는지 점검한다고 한다.
감찰은 비상대응 체계 구축·상황실 운영 현황, 재해 취약지역·시설물의 관리 실태, 배수펌프장과 하천·배수로 정비 상태, 대규모 공사장·지하 공간의 침수 예방 조치, 수방 자재 확보 현황 등 모두 7개 분야를 중심으로 이뤄진다.
여름철 집중호우와 태풍 등으로 인한 재산·인명피해가 발생할 때마다 항상 ‘인재(人災)’라는 비판이 반복된다. 자연재해는 피할 수 없다지만 사전에 대비를 어떻게 하냐에 따라 인적·물적 피해 규모가 달라진다. 재난과 안전에 대한 것은 아무리 강조해도 과하지 않다. 지나치다 싶을 정도로 철저한 사전점검과 대비만이 자연재해로부터 시민의 생명과 안전을 지킬 수 있다. 더는 안일한 대응으로 피해를 키웠다는 비판을 받지 않도록 철저한 대비에 나서야 한다.
이상기후에 따른 기후변화로 인해 재난의 빈도와 강도가 높아지는 요즘은 더욱 세심한 노력이 필요하다.
기상청의 ‘2024년 이상기후 보고서’를 보면 지난해 우리나라는 1973년 이래 가장 더웠고 9월까지 이어진 폭염, 열대야 외에도 장마철에 집중된 강수, 11월 대설 등 다양한 이상기후 현상으로 인해 여러 사회·경제적 피해가 발생했다.
여름철 평균기온은 25.6도로 평년 대비 1.9도 높아 1973년 이래 역대 1위를 기록했고, 열대야 일수는 20.2일로 평년의 3.1배에 달해 역대 1위였다. 이례적으로 많은 폭염일 수 6.0일(평년 0.2일)과 열대야 일수 4.3일(평년 0.1일)이 나타났다. 7월에 발생한 호우로 인한 농작물 피해는 9447ha, 농경지 유실·매몰은 891ha, 가축 피해 102만 여마리에 달했다.
올여름도 평년보다 덥고, 많은 비가 내릴 것으로 전망됐다. 철저히 대비하고 있다고는 하지만 사각지대는 있다. 대책을 두 번, 세 번 점검해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총력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