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은 제21대 대통령을 새롭게 선출했다.

윤석열 전 대통령의 파면이라는 초유의 상황 속에 치러진 이번 조기 대선은 정국 혼란과 국정 공백 속에서 치러졌음에도 국민은 높은 투표율로 응답했다. 민주주의를 지켜야 한다는 절박함, 국정을 바로 세우고 싶다는 간절함이 투표장으로 이어진 것이다.

이처럼 전례 없는 민심의 분출은 단지 정권 교체 이상의 의미를 지닌다.

국민은 무너진 신뢰를 회복하고, 정치가 제자리를 찾으며, 무엇보다 ‘먹고사는 문제’에 실질적인 해답을 제시할 새로운 리더십을 요구하고 있다. 새 대통령은 이제 ‘선거의 승자’가 아니라 이 땅의 모든 국민을 대표하는 통합의 지도자로서 첫발을 내디뎌야 한다.

지금 대한민국은 정치적 피로감과 경제적 위기가 중첩된 상황에 부닥쳐 있다. 대통령 파면이라는 사태 자체가 정치 불신의 극단을 보여준 것이고, 그 후유증은 아직도 사회 곳곳에 깊게 남아 있다. 여기에 경기 침체 속에서 서민의 삶은 더욱 팍팍해지고 있다.

특히 최근 가공식품과 외식비 등 식료품 가격이 줄줄이 오르며 체감 물가는 통계보다 훨씬 심각한 수준이다. 서민 가계는 매일같이 가격표 앞에서 한숨을 쉬고, 시장 물가는 식탁 위의 기본조차 위협하고 있다. 이러한 민생 위기는 단순한 경제 문제가 아니라 국가 리더십의 성과를 가늠하는 기준이 되고 있다. 그래서 이번 대선에서도 물가 안정과 민생 회복은 가장 주목받는 공약 중 하나였다. 공공요금 관리, 식품 유통 구조 개선, 저소득층 지원 등 실질적 대책이 새 정부의 최우선 과제가 되어야 한다.

새 대통령에게 요구되는 또 다른 핵심은 통합의 리더십이다.

이번 조기 대선은 단순한 권력 교체가 아닌, 분열된 사회를 다시 하나로 묶는 정치의 시험대다. 극단의 진영 대결, 갈등과 혐오의 언어는 선거가 끝났다고 저절로 사라지지 않는다. 이제 대통령이 먼저 손을 내밀고, 반대 진영과 소통하며 상대의 상처를 보듬는 통합의 정치를 실천해야 할 때다.

더 나아가 새 정부는 정치의 신뢰 회복이라는 구조적 과제에도 정면으로 맞서야 한다.

윤 전 대통령의 파면은 제왕적 권력 운영에 대한 국민의 경고였다. 권위주의와 불통, 책임 회피의 정치를 다시 반복한다면 민심은 더는 기회를 주지 않을 것이다. 국민 앞에 겸손한 자세로 다가가고 정책 결정 과정에서 충분한 소통과 설명이 동반되어야 한다.

이번 선거에서 드러난 높은 투표율은 경고이자 희망이다.

국민은 무너진 정치를 바꾸고 싶었고, 다시 한번 민주주의의 본령을 되살리고자 했다. 그 염원에 응답하는 길은 오직 하나다. 정직하고 투명한 국정 운영, 민생을 최우선에 둔 정책 집행, 그리고 국민 전체를 아우르는 포용의 리더십이다.

지금 국민은 대통령이 바뀌었다는 사실보다 삶이 바뀌었다는 체감을 원하고 있다.

그 첫 출발이 바로 물가 안정과 민생 회복이어야 하며 동시에 상식과 신뢰가 작동하는 정치의 복원이 되어야 한다.

새 대통령은 국민의 이 압도적인 참여가 던진 메시지를 결코 가볍게 여겨선 안 된다. 혼란을 넘어 희망으로 나아가는 이 길에, 대통령의 의지와 책임 있는 행동이 시험대에 올랐다.

지금부터가 진짜 정치의 시작이다.

저작권자 © 충청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