폐수 다량배출·상수원 보호구역 등 집중 단속
사전 계도→정밀 점검→기술지원…3단계 대응
사전 예방 중심의 환경관리, 기업 동참 실효성 확보

장마와 폭염이 교차하는 여름철, 환경오염 리스크가 높아지는 시기를 맞아 금강유역환경청이 다층적 현장 감시체계로 선제 대응에 나섰다.

금강유역환경청아 수질 악화와 불법 배출 우려가 커지는 여름철을 앞두고, 6~8월까지 '하절기 환경오염 예방 특별 감시·단속'을 전개한다. 이번 조치는 예방과 회복을 동시에 아우르는 입체적 대응 전략으로 기획됐다.

점검은 △환경 민감 지역의 무단 방류 차단 △집중호우 시 방지시설 기능 확보 △영세업체 지원 등 세 가지 핵심 목표 아래 추진된다. 특히 상수원 보호구역과 폐수 다량배출 지역, 고농도 유해물질을 다루는 도금·염색 업종, 휴게소·숙박시설 등 여름철 이용객이 급증하는 업종이 집중 단속 대상이다.

단속은 3단계에 걸쳐 추진된다. 우선 6월에는 '사전 자율관리'를 유도하기 위해 전 사업장을 대상으로 협조문을 발송하고, 방지시설 점검과 오염물질 저감 대책 수립을 유도하는 계도 활동이 이뤄진다.

7월부터는 불시 점검과 현장 중심 단속이 본격화된다. 무단 방류, 허용 기준 초과 배출, 방지시설 미작동 등 주요 위반 행위에 대한 정밀 단속이 이뤄지며, 상수원 보호구역 순찰도 병행해 위법행위가 의심될 경우 주변 사업장을 포함한 즉각적인 현장 조사에 나선다.

뿐만 아니라 집중호우로 인해 환경 관리에 어려움을 겪는 소규모·영세 사업장에 대해서는 기술적인 사후지원도 마련된다. 민간 전문가와 협업해 침수된 방지시설 복구, 처리 설비 보완, 배출 흐름 개선 등을 위한 현장 컨설팅도 병행한다.

송호석 금강청장은 "여름철은 폐수의 무단 방류나 부적정한 처리로 인해 하천 수질이 단시간에 악화될 수 있는 고위험 시기"라며 "이번 감시 활동은 단속보다는 사전 예방과 현장 회복력 강화를 중심으로 설계된 만큼, 기업들이 스스로 환경 리스크를 점검하고 함께 대응해 주길 바란다"고 말했다.

이어 "환경 문제는 더 이상 특정 기관의 노력만으로 해결되지 않는다"며 "민관이 함께하는 환경책임 경영이 확산돼야 지속가능한 지역 환경이 실현될 수 있다"고 덧붙였다.

금강유역환경청은 이번 특별 단속 이후에도 계절별 오염 취약 시기를 고려한 맞춤형 감시 전략을 수립하고, 취약 업종에 대한 환경 리스크 진단과 상시 기술지원 체계를 단계적으로 확대할 방침이다. /대전=이한영기자

저작권자 © 충청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