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대 은행만 4.9조↑…신용대출도 4년 만에 최대 증가폭
금융당국 “7월~8월 효과 본격화…풍선효과 차단에 총력”

최근 서울 강남권을 중심으로 한 집값 급등에 따라 이달 가계대출 증가폭이 7조원에 육박하며 5개월 연속 증가세를 기록했다. 특히 수도권 주택담보대출 수요가 급증하며 ‘영끌’(영혼까지 끌어모은 대출) 현상이 재현되는 양상이다.

이에 금융당국은 이례적인 고강도 대출 규제를 시행하며 7월부터 고액 주택 매입을 위한 대출 수요가 빠르게 줄어들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금융권에 따르면 26일 기준 국내 전체 금융권의 가계대출 잔액은 약 5조8000억원 증가했다. 향후 며칠 남은 기간의 대출 실행 규모를 고려하면, 이달 전체 증가액은 6조원대 후반까지 이를 것으로 보인다.

특히 국민·신한·하나·우리·농협 등 5대 시중은행의 가계대출 잔액은 752조9천억 원으로, 5월 말 대비 약 4조9000억원 늘었다. 하루 평균 1890억원씩 대출이 늘어난 셈으로, 이는 지난해 8월 이후 10개월 만에 가장 큰 증가폭이다.

가계대출 증가세는 주로 서울 강남권과 ‘마용성’(마포·용산·성동구) 지역의 아파트 거래가 활발해지며 주담대 수요가 급증한 데 기인한 것으로 분석된다.

실제로 5대 은행의 주담대(전세자금 포함)는 26일까지 3조9000억원 증가했고, 신용대출은 1조88억원 늘며 2021년 7월 이후 약 4년만에 가장 큰 폭으로 늘었다. 이는 일부 고소득층을 중심으로 신용대출을 활용한 부동산 투자 수요가 늘었기 때문이라는 분석이다.

이에 정부는 지난 28일부터 수도권 주담대 한도를 최대 6억원으로 제한하는 ‘초강력’ 대출 규제를 시행했다. 당장 효과가 반영되기까지는 다소 시차가 있을 수 있지만, 금융당국은 8월부터는 규제 효과가 본격화될 것으로 보고 있다.

충북지역 한 금융업계 관계자는 “신규 규제는 서울과 수도권 고가 아파트 수요를 억제하는 데는 효과가 있을 것으로 보인다”면서도 “대출 수요가 외곽이나 지방으로 확산하지 않도록 면밀한 대응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김재옥기자

저작권자 © 충청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