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강유역환경청, 화재 위험사업장 '집중 점검'
전국적 배터리 화재 급증 속, 37개소 실태 진단
분리보관 미준수·법정교육 미이수 등 적발
사업장 위험 감수성 높여야… 자율관리 체계 시급
배터리 화재가 산업현장과 생활공간을 위협하는 가운데, 환경당국이 고위험 물질을 다루는 사업장에 대한 선제적 대응에 속도를 내고 있다.
금강유역환경청은 지역 내 폐배터리 취급 사업장 37개소를 대상으로 화재·폭발 예방을 위한 집중 안전 점검을 실시한 결과, 폐기물관리법 위반 4건을 적발했다.
이번 점검은 올해 4~6월까지 진행됐으며, 에너지 밀도가 높은 2차 전지류의 부실 관리로 인한 사고 확산을 사전에 차단하기 위한 조치였다.
점검에서는 △폭발 위험성이 높은 폐기물에 대한 안전설비 설치 여부 △유해성이 높은 폐기물의 분리 보관 이행 △경고 표지판 설치·취급 주의사항 안내 실태 등을 중점적으로 살폈다. 그 결과 지정폐기물을 허가된 장소 외에 임의로 보관한 사례 1건, 법정교육 미이수 3건이 드러났다.
금강유역환경청은 불시 점검과 교육 강화, 위반 사업장에 대한 행정처분 연계 등을 통해 위법 행위에 대한 대응 수위를 높이겠다는 방침이다.
송호석 청장은 "폐배터리는 방치 상태에서도 큰 사고로 이어질 수 있는 위험성이 내재된 물질"이라며 "금강청은 화재 가능성이 높은 산업시설을 중심으로 촘촘한 관리망을 구축해 국민의 생명과 재산을 지키는 데 앞장설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사업장도 법적 최소 기준 준수를 넘어 능동적이고 자율적인 안전관리 문화를 정착시켜야 한다"며 "관련 종사자의 실무역량 제고를 위한 맞춤형 기술 교육·정보 공유 체계도 확대해 나아가겠다"고 덧붙였다.
금강유역환경청은 하반기에도 고위험 폐기물 집중 취급업체를 대상으로 특별점검을 확대 시행하고, 현장 적용 중심의 지침 마련과 민관 협력 체계 구축에도 적극 나설 계획이다. /대전=이한영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