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북은 대한민국 정치의 축소판이라 불릴만큼 선거 때마다 캐스팅보트 역할을 해왔다.
그 중에서도 진천군은 정권교체의 중심에 선 지역으로 평가 받는다.

지난 대통령 선거에서 진천군은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후보에게 52.38%의 지지를 보내며 충북에서 유일하게 과반 득표를 기록했다. 

이러한 흐름은 이에 앞서 지난 22대 총선에서도 이어졌다.

진천·음성·증평 선거구에 출마한 민주당 임호선 후보는 진천군에서 56.89%의 높은 지지를 얻었고, 이는 전체 득표율53.95%의 재선 성공으로 이어졌다. 

진천은 19대 대선 당시에도 민주당이 13.6% 격차로 승리한 바 있으며, 이후 20대 대선에서 격차가 줄었음에도 여전히 민주당의 우세가 유지된 정치적으로 민감한 지역이다.

이번 21대 대선에서는 이재명 후보가 다시한번 진천에서 과반 득표를 얻으며, 대전환기의 민심을 이끈 지역임을 증명했다. 

인구 증가와 더불어 진보적 흐름이 뚜렷해지고 있는 진천은 단순한 정치 지지지역을 넘어 새로운 시대정신을 선도하는 상징적 지역으로 자리잡고 있다.

송기섭 진천군수는 위헌적 비상계엄 논란 당시 충북에서 최초로 공개적으로 반대입장을 표명하고, 민생안정 TF를 구성해 군 차원의 정치적 책임을 실현해왔다.

이는 기초지자체 차원에서는 드물게 민생과 정치 안정에 대한 균형 잡힌 목소리를 낸 사례로 지역 정치에 대한 주민들의 신뢰를 높이는 데 기여했다. 

이제 지역은 중앙의 응답을 기다리고 있다. 

특히 이재명 대통령의 대선 공약 중 하나였던 2차 공공기관 이전은 진천군의 미래를 좌우할 핵심과제로 꼽힌다.

진천은 경제성과 실효성을 겸비한 시장형 공공기관의 유치에 대한 기대를 품고 있으며, 이는 단순한 지역이기주의가 아니라 국가 균형발전 전략의 연장선상에 있다.

그러나 새정부 출범 이후 진천과 충북을 향한 중앙의 시선은 냉랭하다.

새 정부 내각에는 충북 출신 국무위원 지명자가 단 한명도 없고, 이로 인해 지역에서는 실망과 박탈감이 확산되고 있다.

당장은 인사에서 배제됐더라도 민주당 당무에 충북 출신 인사들이 포진해 지역 현안을 정부와 함께 해결해 나가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있다. 

진천은 단지 표를 던진 것이 아니라 분명한 정치적 메시지를 던졌다.

이제 그에 대한 화답은 정부와 여당의 몫이다.

균형 발전은 정책의 수치로만 이뤄지지 않는다. 

진심을 담은 정치적 응답과 실천이 함께 할 때 지역민의 선택은 비로소 의미를 갖게 된다.

정부와 여당은 이제 진천 등 충북의 진심에 응답해야 할 때다.

 

저작권자 © 충청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