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체리기차 수주·북미 ESS 생산 확대…하반기 3대 실행과제도 제시

 

LG에너지솔루션이 2025년 2분기 안정적인 북미 출하와 비용 효율화 노력에 힘입어 영업이익 4922억 원을 기록하며 전년 대비 152.0% 증가한 실적을 발표했다. 매출은 5조5654억원으로 전년 동기보다 9.7% 감소했다.

이번 분기 영업이익에는 IRA(인플레이션 감축법) 세액공제 4908억원이 반영됐으며, 이를 제외하더라도 흑자 전환에 성공해 의미 있는 분기 실적을 달성했다. 이는 6개 분기만의 흑자 전환으로, LG에너지솔루션의 현지 생산 전략과 원가 혁신 노력이 결실을 본 것으로 평가된다.

이창실 LG에너지솔루션 CFO는 “북미 생산 비중 확대에 따른 고수익 제품 증가와 전사적 비용 효율화, 재료비 절감 등을 통해 IRA 세액공제 제외 기준에서도 손익 개선에 성공했다”고 설명했다.

LG에너지솔루션은 이번 실적 발표에서 북미 관세 강화 및 OBBBA(대규모 감세법안) 등 정책 변화에 따른 대응 전략도 함께 제시했다. 특히 미국이 ‘PFE(금지외국단체)’ 조항을 신설하며 중국산 배터리에 대한 규제를 강화한 가운데, 자사 북미 생산 인프라의 중요성이 더욱 커졌다고 강조했다.

유럽과 영국 역시 자국 중심의 전기차 수요 정책을 펼치고 있어, 글로벌 시장에서의 ‘현지화’ 전략은 점점 더 결정적인 경쟁 요인으로 부상하고 있다.

2분기 주요 성과로는 중국 체리기차와의 원통형 46시리즈 배터리 공급계약 체결, 미시간 홀랜드 공장에서의 LFP 기반 ESS 양산 개시가 꼽힌다. 특히 중국 시장에서 자국 선호를 넘어선 수주는 LG에너지솔루션 기술력의 상징적 성과로 평가된다.

또한 미국 토요타통상과의 배터리 리사이클 합작법인 설립 발표 등, 자원 순환체계 구축을 위한 ESG 활동도 이어지고 있다.

LG에너지솔루션은 하반기 ‘운영·사업·기술’ 분야별 실행 과제도 함께 발표했다.

운영 측면에선 ESS 및 중저가형 제품 확대, 투자 최소화와 내부 자원 재배치를 통한 고정비 절감 등을 추진하며, 원가 경쟁력 확보에 집중할 계획이다.

사업 부문에선 북미 ESS 수요에 대응해 연말까지 17GWh, 2026년까지 30GWh 생산능력을 확보하고, 유럽 시장엔 고전압 미드니켈(Mid-Ni)과 LFP 제품을 폴란드 공장에서 양산한다.

기술 측면에선 EV용 LFP에 신규 건식전극 공정 도입, ESS용 LFP의 고밀도 설계 적용, LMR 배터리의 에너지밀도 향상 등 기술 고도화도 병행된다. 2028년까지 10분 내 급속충전 기술 상용화와 오창 에너지플랜트 내 건식전극 양산성 확보도 목표다. /김재옥기자

저작권자 © 충청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