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일 이어지는 폭염에 냉방기 틀어놓은 채 문을 열어두고 영업을 하는 개문 냉방이 기승을 부리고 있다

해마다 여름철이면 되풀이 되는 익숙한 풍경이다.

상인들은 전기료 지출이 늘어나더라도 매출 때문에 어쩔 수 없다고 설명한다.

그러나 전력난으로 인한 부작용이 걱정될 수 밖에 없어 적절한 규제책이 필요해 보인다.

지난 30일 충청일보 취재기자가 충북 청주지역 번화가를 둘러보니 출입문을 열어둔 채 영업을 이어나가는 상점을 쉽게 볼 수 있다고 한다.

해당 지역 중심상권 약 200여m 구간에 위치한 40여 개 매장 중 10여 곳이 문을 연 채 냉방 중이었으며 옷가게가 밀집해 있는 약 100m 구간에서는 20여 곳 가운데 절반 이상이 출입문을 열어놓고 영업을 이어나갔다고도 했다.

문을 열어놓고 냉방기를 가동하면 실내 온도를 낮추기 어렵기에 에어컨을 더욱 강하게 가동해야 한다. 

한국에너지공단의 개문냉방 영업 매장의 에너지 소비 모의실험 분석 결과 냉방에 필요한 전력량은 문을 닫고 냉방 했을 때 비해 약 66%, 냉방을 포함한 총 전기요금은 약 33% 증가한다.

개문냉방은 단순한 전기요금 증가뿐만 아니라 전력수요 증가로 인한 에너지 낭비을 부른다.

이뿐만 아니라 도심을 달구는 '열섬효과'의 주범으로 꼽힌다.

상인들이 손님을 끌어들이기 위해 개문 냉방 영업을 이어가고 있지만 지방자치단체의 단속은 쉽지 않다. 

정부의 공고 없이는 단속할 근거가 없기 때문이다.

개문냉방은 에너지이용 합리화법에 따라 과태료가 부과되는 행위지만 전력 예비율이 한 자릿수로 떨어질 때 산업통상자원부가 지침을 내려야 지자체에 단속·과태료 부과 권한이 생긴다. 지침이 내려오지 않은 상황에서는 민원이 접수될 경우 현장에 나가 계도하는 수준에 그친다.

청주시는 2016년 이후 단속이 이뤄지지 않고 있다. 

당시 한국에너지공단과 지자체가 협조해 단속을 벌여 경고장을 발부했지만 이후 지침이 내려오지 않으면서 단속은 중단된 상태인 것이다.

다행히 아직 전력 수요는 정상 단계지만 지속되는 폭염 등을 고려할 때 전력난 우려는 커지고 있다. 

전력당국은 통상적으로 전력 수요급증은 7월말에서 8월초에 높게 나타나는데 올해는 2주 가량 빠르게 나타났다고 한다.

역대 최고치를 경신한 만큼 올 여름 전력 수요량이 예상보다 많을 수 있다고 진단했다.

사회 모든 분야에서 전기 절약을 생활화하는 등 전력난에 대비한 경각심을 가질 필요가 있다.

특히 일부 상인들의 개문냉방과 같은 행위에 대해선 적당한 규제도 필요해 보인다.

저작권자 © 충청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