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천군, 대기업 유치 조건 "반대이유 없다"

대기업 유치를 조건으로 하는 혁신도시 이전대상 공공기관의 분산배치가 진천군에서 설득력을 얻고 있다.
정우택 지사는 지난 달 28일 진천군을 방문한 자리에서 "충북도는 12개 이전대상 공공기관의 집단배치를 고려하지 않고 있다"면서 "혁신도시가 자족도시로의 면모를 갖추기 위해서는 생산부지에 공공기관을 배치해서는 안된다"고 밝혔다.
대신, 정 지사는 "공무원연수원 등 3개 기관은 제천으로 이전토록 하고 이 부지에 우수기업체를 유치하는 공공기관 분산배치가 바람직하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지역주민들은 "연수원은 많은 면적을 차지하고 있으면서 지역경제에 별다른 영향을 주지 못하기 때문에 이 부지에 우수한 기업체를 유치한다면 분산배치를 하는데 반대할 이유가 없다"고 말하고 있다. 실제로 12개 이전대상 기관이 차지하는 부지는 총 50만평이나 이 가운데 3개 기관의 연수원 부지는 38만평이며 인원도 400명이 채 되지 않는다.
더욱이 앞으로 혁신도시의 인구를 4만2천명까지 유입시키겠다는 발표는 현재의 계획으로는 어려울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에 대기업이 입주할 수 있는 공단을 조성하는 것이 젊은 층의 인구 유입을 위하는 적극적인 방안으로 보고 있다.
이욱 혁신도시 및 제천연수타운 홍보팀장은 "공공기관의 개별이전은 이전기관과 지역의 특수성에 맞게 이루어져야한다"며 "농업지역에 연수관광도시를 조성한다는 것은 처음부터 잘못된 생각"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이욱 팀장은 "현재 과천과 기흥 등에 있는 연수기관 주변에는 상권형성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기 때문에 이들 기관이 혁신도시로 들어온다고 해도 지역경제를 활성화시킬 수 있을 만큼의 상권형성은 기대하기가 어렵다"고 말했다.



/진천

저작권자 © 충청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