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정기획위원회가 세종시 대통령 집무실 건립을 신속 추진과제로 선정했다.

이재명 대통령은 공약집에 ‘국회 세종의사당과 대통령 세종집무실 임기 내 건립’을 넣어 행정수도 세종 완성을 약속한바 있다.

국정위는 이를 실현하기 위해 세종집무실 건립을 신속 추진과제로 선정하고 정부에 조속히 설계 공모에 착수할 것을 제안한 것이다.

세종집무실은 단지 대통령의 업무 공간을 하나 더 짓는 것이 아니다. 이는 행정수도를 완성하고 수도권에 일극 체제 해소와 지역 균형 발전을 위한 실질적 출발점이다.

이번 신속추진과제 선정은 이 대통령의 약속을 본격적으로 실행에 옮기겠다는 신호다. 정부는 대통령 공약의 무게감을 인식하고 신속히 집무실 건립 절차에 착수해야 한다.

세종에는 이미 22개의 중앙행정기관이 이전해 명실상부 행정의 중심지이지만 여전히 주요 기능은 서울에 집중돼 있어 ‘반쪽짜리 행정수도’라는 지적을 받아왔다. 행정 이원화에 따른 비효율 문제와 함께 지역 불균형도 여전해 행정수도 완성의 필요성이 꾸준히 제기됐다.

행정수도 완성은 충청권의 오랜 숙원이다. 단지 특정 지역만을 위한 일이 아니라 수도권 과밀을 해소하고 국가균형발전과 지방분권을 위한 국가적 과제이기도 하다.

이제는 더 이상 논의에 머무르지 말고 실질적인 실행을 통해 구체적인 성과를 내야 한다.

세종집무실을 기존 ‘대통령 제2집무실’이라는 보조적 개념에서 벗어나 독립성과 위상을 갖춘 공간으로 만들겠다는 계획은 환열할만 하다. 이를 위해 부속적인 의미를 빼고 독자적인 집무실로서 위상을 갖추기 위해 ‘세종집무실’로 명칭도 바꿨다고 한다. 규모 역시 기존보다 확대될 가능성이 있다.

다만 대통령 공약의 또 다른 축인 국회 세종의사당 건립은 이번 신속 추진과제에서 빠졌다는 점은 아쉽다. 현재 세종의사당 완공 시점은 2029년에서 2033년으로 늦춰진 상태다. 이대로라면 대통령 임기 내 건립은 사실상 어려운 상황이다.

단순한 건물 건립을 넘어 실질적인 행정수도로 기능하기 위해 대통령 집무실과 세종의사당, 행정기능의 재배치를 포괄하는 구체적 로드맵이 필요하다.

정부는 더는 지체하지 말고 국가적 과제인 행정수도 완성을 속도감 있게 추진해야 한다.

저작권자 © 충청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