日 나가이시와 재난 대응 협약 체결
드론·클라우드 기반 침수 예측 기술 수출
글로벌 기후위기 해법으로 기술 확산
NTT·네이버클라우드 등과 5자 협력체계 구축

▲ 6일, 일본 나가이 시청에서 진행된 업무협약식 장면. 사진 왼쪽부터 장병훈 한국수자원공사 수자원환경부문장, 신지현 네이버클라우드 일본사업개발 상무이사, 우치야 시게하루 나가이시 시장, 야마구치 타다유키 NTT동일본주식회사 비즈니스개발 본부장, 타키자와 마사히로 NTT이드론 테크놀로지 사장
▲ 6일, 일본 나가이 시청에서 진행된 업무협약식 장면. 사진 왼쪽부터 장병훈 한국수자원공사 수자원환경부문장, 신지현 네이버클라우드 일본사업개발 상무이사, 우치야 시게하루 나가이시 시장, 야마구치 타다유키 NTT동일본주식회사 비즈니스개발 본부장, 타키자와 마사히로 NTT이드론 테크놀로지 사장

첨단 기술을 품은 한국의 물관리 시스템이 일본 현장으로 건너갔다. 

한국수자원공사(K-water)는 지난 6일 일본 야마가타현 나가이 시청에서 나가이시, NTT동일본, NTT이드론 테크놀로지, 네이버 클라우드와 함께 '디지털트윈 및 드론 기반 재난 대응 강화'를 위한 다자간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나가이시는 모가미강과 지류가 도심을 가로지르는 지형적 특성으로 인해 집중호우와 홍수에 취약한 지역으로, 2022년에도 침수와 교량 유실 등의 피해를 겪으며 재난 대응 체계 개선의 필요성이 꾸준히 제기돼 왔다.

▲ 일본 야마가타현 나가이시에 위치한 나가이댐 전경. 나가이댐은 다목적댐으로 저수용량이 5,100만㎥에 이른다. 우리나라 김천부항댐(경북 김천시 부항면 유촌리, 신옥리)의 규모(5,430만㎥)와 유사하다
▲ 일본 야마가타현 나가이시에 위치한 나가이댐 전경. 나가이댐은 다목적댐으로 저수용량이 5,100만㎥에 이른다. 우리나라 김천부항댐(경북 김천시 부항면 유촌리, 신옥리)의 규모(5,430만㎥)와 유사하다

이번 협약을 통해 K-water는 국내 5대강 유역에 실증한 '물관리 디지털트윈' 기술을 일본 현장에 적용하고, 드론·센서·기상정보를 결합한 실시간 재난 예측 체계를 구축함으로써 나가이시의 대응 역량을 강화할 예정이다.

디지털트윈 기술은 실제 수자원 환경을 디지털 공간에 구현해 강우, 수위, 댐 운영 정보 등을 통합 분석하고, 시뮬레이션을 통해 위기 상황을 예측·관리할 수 있도록 돕는 첨단 물관리 솔루션이다.

특히 드론 촬영 영상과 하천 수위 센서, 기상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연계해 위험 지역을 선제적으로 식별하고, 대응 시나리오 기반의 분석 자료를 제공함으로써 보다 과학적인 현장 대응을 가능하게 한다.

이번 협력에서 각 기관의 역할도 명확히 정해졌다. K-water는 침수 예측과 디지털트윈 솔루션을 총괄하고, 나가이시는 시스템 구축에 필요한 수문·지형 데이터를 제공한다. NTT동일본은 무선 네트워크 인프라와 총괄 운영을 맡고, NTT이드론은 항공 데이터와 드론 운용을 담당한다. 네이버 클라우드는 클라우드 기반의 데이터 저장·분석 솔루션을 지원한다.

K-water는 앞서 지난 7월부터 사우디아라비아 리야드에 홍수 대응 시스템을 구축하며 기술력을 입증한 바 있으며, 이번 일본 협약은 선진국 시장에서도 경쟁력을 인정받은 사례로 평가받고 있다.

K-water 장병훈 수자원환경부문장은 "이번 협약은 국내 물관리 기술이 일본과 같은 선진 시장에 진출하는 중요한 계기가 될 것"이라며 "기후위기 대응과 도시 재난관리 측면에서 디지털트윈 기술이 글로벌 해법으로 자리매김할 수 있도록 기술 확산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대전=이한영기자

저작권자 © 충청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