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대통령의 국정 지지도가 크게 하락한  51.1%로 취임 후 한달 보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다는 여론조사 결과가 18일 나왔다.

리얼미터·에너지경제신문이 11~13일 전국 만 18세이상 2003명을 대상으로 실시해 이날 발표한 리얼미터의 8월 2주차(11~14일) 여론조사 결과다.

이 대통령 국정수행 지지도는 전주(56.5%) 대비 5.4%p(포인트), 2주 전(63.3%)보다는 12.2%p 떨어진 수치다.

반면 부정 평가는 전주(38.2%) 대비 6.3%p 올라 44.5%를 기록했다. 긍정·부정 평가 간 격차는 오차범위(95% 신뢰수준에 ±2.2%p) 밖인 6.3%p로 좁혀졌다. 

하락 원인으로는 대체로 예상했던 바와 같이 '광복절 사면 논란' '윤석열 전 대통령 부부 구속' '여당의 강성 지지층 중심 정책' 등이 꼽혔다.

특히 조국 사면 등 불공정한 특별사면이 공성성에 민감한 20대의 큰 반발을 산 것으로 드러났다. 20대의 지지율은 전주(43.5%) 대비 9.1%p나 추락했다. 아울러 주식 투자 인구가 가장 많은 40대(7.0%p↓)~50대(6.8%p↓)에서 하락폭이 컸고, 대부분의 연령층에서 하락했다.

이번 조사에서는 특히 중도층에서 전주(58.7%) 대비 6.6%p가 하락한 것이 두드러져 보였다. 아울러 인천·경기, 대전·세종·충청, 서울 등 전통적인 민주당 강세 지역이지만 집중 호우 피해가 컸던 지역에서 하락 폭이 컸다. 이에 따라 정부의 재난 대응에 대한 평가도 지지율 하락에 영향을 미쳤을 가능성이 제기됐다.

한편 정당 지지도는 더불어민주당이 39.9%, 국민의힘이 36.7%를 기록해 양당간 지지율 격차가 3.2%p로 오차 범위(95% 신뢰수준에 ±3.1%p) 내로 줄어들었다. 

민주당 지지율 40%가 무너진 것은 지난 1월 3주차 이후 약 7개월 만이다. 대통령 지지율 하락과 마찬가지로 광복절 특사, 주식 양도세 정책에 대한 반발 등이 작용한 것으로 풀이된다. 특히 광주·전라(16.1%p↓), 인천·경기(15.4%p↓) 등 전통적인 민주당 강세 지역에서 많이 떨어져 눈길을 끈다.

반면, 국민의힘의 상승세는 보수층 결집의 효과로 해석됐다. 전당대회로 인한 밴드웨건 효과, 광복절 특사 비판을 통한 여론 공감, 특검의 국민의힘 당사 압수 수색에 대한 반발 등이 보수층 결집을 이끌어 지지율 상승을 가져왔다는 것이다.

대통령 국정수행 지지율과 정당 지지도 조사는 모두 무전 전화 자동응답(ARS) 방식으로 진행됐으며, 응답률은 5.2%와 4.7%를 나타냈다. 자세한 내용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참조하면 된다.

/서울=이득수 기자

저작권자 © 충청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