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대·연예인 8400만원 책정… 정작 우럭은 뒷전"
"타지역 업체 기획·외지산 수산물… 지역성 실종"
충남 서산시 대표 축제 중 하나인 삼길포우럭축제가 오는 23일 개막을 앞두고 시작도 전에 잡음에 휘말렸다. 축제의 핵심인 우럭 공급과 예산 집행에서 지역성이 희미해졌다는 비판이 잇따르면서 "앙꼬 없는 찐빵" "속 빈 강정"이라는 날 선 지적이 쏟아지고 있다.
가장 큰 논란은 축제의 근간인 우럭 공급 문제다. 축제에 쓰이는 우럭 상당량이 남해 등 외지산으로 알려지면서 축제 매출의 이익이 정작 지역 상인보다 활어 유통업자와 외지 양식업자에게 돌아간다는 불만이 커지고 있다.
일부에선 "삼길포 유통시장을 둘러싼 선점 경쟁이 과열됐다"는 지적도 나온다. 지역의 이름을 내건 축제가 지역 어민과 상인에게는 실익이 돌아가지 못한다는 점에서 뼈아픈 비판이다.
예산 집행의 투명성 역시 도마에 올랐다. 올해 축제에는 서산시 보조금 7000만원과 기업·단체 후원금 7000만원 등 총 1억4000만원 이상이 투입된다. 특히 시 보조금은 지난해보다 2000만원 증액되었지만 정작 사용처는 지역 경제 활성화와 직접 연결되지 않는 항목이 대부분이다.
무대 설치에 4300만원, 연예인 출연료에 4100만원이 쓰이면서 축제 예산의 큰 비중이 '우럭'과는 무관한 곳으로 빠져나갔다. 시민 혈세와 기업 후원이 "우럭 없는 우럭축제"를 만들고 있다는 비판이 확산하는 이유다.
축제 운영을 맡은 기획사도 지역업체가 아닌 타 지역 업체로 알려졌다. 축제위원회 측은 "20여 명의 외부 심사위원이 공정하게 평가했다"는 입장이지만 지역 축제를 외지 업체에 맡기는 것이 타당하냐는 논란이 불거지고 있다.
또한 축제추진위원회 내부 의사결정이 일부 위원들의 독단으로 이루어졌다는 지적이 나오면서 서산시의 관리·감독 부재도 논란의 중심에 섰다. 일부 시민사회에서는 "지역 상권 활성화라는 본래 취지는 뒷전이고 기업에는 후원만 강요하는 구조"라고 성토했다. 특히 대산공단 경기 침체 상황에서 기업 후원이 '울며 겨자 먹기식'으로 이뤄지고 있다는 문제 제기도 제기된다.
전문가들은 지역 축제가 브랜드로 자리 잡기 위해서는 △지역산 우럭 의무 비율 설정 △원산지·유통 경로 투명화 △지역 상인 참여 보장 △예산 전면 공개 및 사후보고 △외부 대행사 활용 시 지역 협력 조건 부과 등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아울러 지역사랑 상품권 활용이나 지역민 수산물 소비 환급 지원 제도를 도입하면 소비의 지역 환원 효과를 높일 수 있다는 조언도 나왔다.
시민사회 일각에서는 "지역 이름을 건 축제라면 지역 생산자와 상인이 주인공이 되어야 한다"며 "논란이 드러난 만큼 이번 축제를 계기로 유통 구조와 예산 집행 방식을 재정비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서산=송윤종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