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민 반대 민원·도의회 부결 등 제동
밀레니엄타운 대안 부지도 불투명
김영환 충북도지사가 충북형 저출생 대책이라며 의욕적으로 추진 의사를 밝혔던 '반값 청년 아파트' 사업이 사실상 무산됐다.
최초 사업계획은 주민 반발로 좌초됐고 이후 대안 부지를 마련해 사업을 다시 추진하려 했으나 이마저도 가능성이 낮아 포기하기로 결정했다.
20일 도와 충북개발공사에 따르면 사업 시행자인 공사는 최근 내부 검토를 거쳐 '충북형 더클래식(청년주택)' 사업을 중단하기로 했다.
앞서 2024년 4월 김 지사는 청년주택 등 충북형 저출생 대책을 발표하면서 도유지인 청주시 청원구 주중동 옛 도로관리사업소 부지에 신혼부부, 청년층, 다자녀 저소득 무주택자를 위한 공공 임대주택을 건설하겠다고 밝혔다.
도와 충북개발공사는 전용면적 59㎡의 4개동, 270가구를 건립해 6년간 선임대, 후분양으로 공급하는 방식으로 사업을 계획했다.
이를 통해 수도권과 같은 '반값'까지는 아니더라도 청주의 주변 아파트 시세보다 많게는 40%까지 가격을 낮춰 주거 부담을 줄일 수 있다고 자신했다.
하지만 지난 4월 도의회 건설환경소방위원회에서 사업 계획안을 부결하면서 급제동이 걸렸다.
건환소위는 지방공기업평가원의 사업 타당성 검토에서 '다소 미흡' 평가를 받았고 다른 공공지원 임대주택과의 차별성이 부족하다고 지적했다.
사업 시행 기관인 충북개발공사의 재정 부담 우려도 나왔다.
여기에 인근 아파트 단지 주민들의 반대 목소리가 빗발치면서 이 부지에서 사업을 더 이상 추진하지 않기로 했다.
최근 도시계획 변경으로 2200세대 규모 공동 주택과 대형 쇼핑센터 건립이 가능해진 청주 밀레니엄타운을 대안으로 검토하고 있지만 민선 8기 내 사업 추진 가능성은 불투명하다.
도시 개발 방식조차 정해지지 않은 밀레니엄타운에 개별 아파트 건립 사업을 섣부르게 추진하기는 어렵다는 것이 도와 공사의 설명이다.
이 사업을 주도해 온 진상화 공사 사장이 오는 10월 퇴임을 앞두고 있어 사업 추진 동력이 약해진 것도 향후 전망을 어둡게 하고 있다.
김 지사도 재선 도전을 앞두고 주민과 의회의 반대에 부담을 느꼈고 사업 추진 보류를 지시했다는 후문도 들린다.
사업 무산에 대해 도와 공사의 미흡한 행정을 지적하는 목소리도 적지 않다.
인근 주민들의 반발이 불 보듯 뻔함에도 사전 교감 없이 사업 계획을 먼저 발표하면서 반발 여론에 기름을 부었다는 지적이다.
공사 관계자는 "청년층 주거 부담을 줄이고 인구 정착을 유도한다는 차원에서 반값 아파트 사업을 검토했지만 단기간 내 추진이 어려운 실정"이라며 "그 대신 중장기 계획으로 대체 사업지의 타당성 등을 검토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배명식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