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최초 행정망 전수조사로 1182명 발굴
개인별 지원계획 수립·공공·민간 연계 본격화
2년 주기 정례 조사·지역 거점기관 지정 추진
복지의 손길이 닿지 못해 사회적 고립 속에 있던 발달장애인들이 대전시의 새로운 시도로 빛을 보게 됐다.
대전시는 행복이음시스템을 활용한 전국 최초 행정망 기반 전수조사를 통해 복지서비스를 이용하지 못한 발달장애인 1182명을 찾아내며, 체계적인 지원 강화의 물꼬를 텄다.
이번 조사는 통계 수집에 머무르지 않고, 위기 예방형 맞춤 지원 체계를 구축하는 데 방점을 뒀다. 조사 결과, 등록 발달장애인 8723명 중 약 13.5%가 복지수당 외 다른 서비스를 전혀 이용하지 못하고 있었으며, 발달장애인이 두 명 이상 거주하고도 공적 지원에서 완전히 소외된 가구도 확인됐다.
시는 이들을 대상으로 △방문·전화 상담 △개인별 지원계획(ISP) 수립 △공공·민간 서비스 연계를 추진한다. 특히 신청이 어려운 가구에는 정기 모니터링을 실시해 지속적 관리 체계를 마련할 예정이다.
전수조사는 2024년 4월부터 1년간 두 차례로 나눠 진행됐다. 2차 조사에서는 기초생활수급·차상위 계층 정보를 반영해 발굴 정확도를 높였다. 시는 \2년 주기 정례조사를 제도화하고, 올해 하반기부터 5개 자치구에 거점기관을 지정해 지역 기반 지원망을 확충할 계획이다.
박정은 대전발달센터장은 "이번 조사를 통해 발달장애인 가족이 겪는 고립과 위기를 조기에 발견하고 필요한 도움을 연결할 수 있는 길이 열렸다"고 말했다.
대전시 김종민 복지국장은 "행정망을 활용한 전국 최초의 전수조사로 복지 사각지대 해소의 초석을 놓았다"며 "발달장애인과 그 가족 모두가 행복하고 안전하게 살아갈 수 있는 포용적 복지도시 대전을 만들어 가겠다"고 강조했다. /대전=이한영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