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품의약품안전처가 최근 해외직구 식품을 대상으로 벌인 기획검사에서 충격적인 결과가 나왔다. 마약 성분이 의심돼 수거·검사한 50개 제품 중 42개 제품에서 대마·마약류·향정신성의약품 등 반입금지 성분이 확인됐다는 것이다. 단순한 의심 수준을 넘어, CBD·THC·모르핀·코데인·사일로신 등 국내 법률상 엄격히 규제되는 물질들이 다수 검출되었다. 젤리, 과자, 식이보충제, 음료 등 일상적인 형태의 기호식품에 버젓이 포함돼 유통되고 있었다.
문제의 심각성은 단지 법적 위반 차원을 넘어선다. 검출된 성분들은 중독성과 환각 작용이 강하고, 장기 복용 시 정신질환이나 신체적 이상을 유발할 수 있는 위험 물질들이다. 예컨대 사일로신은 환각버섯에 포함된 향정신성의약품이며, 모르핀과 테바인, 코데인은 강력한 마약류로 의학적 목적 이외에는 철저히 통제된다. 특히 일부 제품에서는 마약류가 2~3종 중복으로 검출되는 등 소비자가 섭취할 경우 신체적 위해가 불가피한 수준이다.
식약처는 이번에 확인된 위해 제품에 대해 관세청에 통관보류를 요청하고, 방송통신심의위원회를 통해 판매 사이트 접속을 차단했으며, 국가기술표준원에도 유통중단을 요청했다. 또 해당 제품을 식품안전나라 ‘해외직구식품 올바로’ 누리집에 등록해 소비자가 사전 확인할 수 있도록 했다. 이 같은 후속 조치는 신속했고 적절했다. 그러나 해외직구 특성상 소비자 개개인이 자가소비 목적으로 해외 사이트에서 직접 구매하는 구조이기 때문에, 정부의 사후 대응만으로는 근본적인 차단이 어렵다는 한계가 분명하다.
현재 식약처가 관리 중인 위해 해외직구식품은 4000개를 넘는다. 문제는 해외직구가 더는 일부 소비자에 국한되지 않고 있다는 점이다. 접근성은 날로 높아지고, 광고는 화려하며, 안전성 검증은 거의 이뤄지지 않는다. 특히 해외 일부 국가에서 대마 사용이 합법화되며, 국내 소비자들은 그 법적 경계를 혼동하거나, “천연 성분”이라는 착각에 안이하게 제품을 구매하는 경향도 뚜렷하다. 소비자 인식 개선이 시급하다.
정부는 이번 사안을 계기로 해외직구식품 전반에 대한 안전망을 재정비해야 한다. 마약류 의심 제품에 대한 수입 전 단계의 필터링 강화는 물론, 소비자 대상 경고 시스템과 교육을 대폭 확대할 필요가 있다. 또 마약·향정신성 의약품 검사 기준과 시험법의 고도화, 관련 기관 간 정보공유 체계 구축 등 제도적 장치도 보완되어야 한다. 마약 청정국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유통 단계뿐 아니라 소비의 문턱까지 철저히 통제돼야 한다.
해외직구 시장은 앞으로도 커질 것이 분명하다. 이 흐름 속에서 소비자 안전을 담보하기 위한 정부의 역할은 더욱 막중해지고 있다. 식품은 건강의 문제다. 마약 성분이 든 식품이 우리 식탁에 오르는 일은 결코 있어선 안 된다. 정부와 소비자 모두, 더는 이 문제를 가볍게 넘겨서는 안 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