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세행정 2.0, 세관 혁신… 무역 신뢰도 높여
현장 중심 협력 플랫폼, 행정·연구·산업 연결
국민 안전과 무역 경쟁력 강화, 전환점 기대
2028년까지 190억원 투입, 맞춤형 기술 개발 돌입
관세행정이 한 단계 도약한다. 관세청과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26일 배재대학교에서 '관세행정 현장 맞춤형 기술개발 2.0 사업' 착수보고회를 열고, 세관 혁신을 이끌 신규 연구개발의 막을 올렸다.
이번 착수보고회에는 관세청, 과기정통부, 한국연구재단, 연구기관과 기업 관계자들이 한자리에 모여 관세행정의 미래 청사진을 그렸다.
이 사업은 2021~2024년까지 진행된 1.0 사업의 성과를 토대로 마련됐다. 지난 단계에서 특허 52건, 논문 340편, 혁신 시제품 지정 등 풍성한 결과가 나왔고, 이를 발판 삼아 2028년까지 모두 190억원을 투입해 4개 연구단이 본격적인 연구에 나선다. 목표는 행정 효율 제고에 머무르지 않고 △AI 기반 세관 시스템 구축 △국민 건강 보호 △사회 안전망 강화라는 세 가지 핵심 가치를 동시에 실현하는 데 있다.
특히 이번 공모는 24개 컨소시엄이 지원해 경쟁률 6대 1을 기록했다. 이는 관세행정 R&D에 학계와 산업계가 얼마나 높은 관심을 보이고 있는지 보여준다. 최종 선정된 연구단은 현장에서 곧바로 활용 가능한 기술을 개발하고 실증하며, 무역 질서와 국민 안전을 지키는 새로운 무기를 만들어낼 예정이다.
추진 체계도 촘촘하다. 사업추진위원회는 관세청과 과기정통부, 한국연구재단, 외부 전문가로 구성돼 큰 방향을 조율한다. 배재대학교 산학협력단이 사업단을 맡아 연구단을 총괄하며, KAIST와 한국화학연구원, 선박해양플랜트연구소, 경찰대학교 산학협력단 등이 함께 참여하는 '커스텀즈랩(Customs Lab)'이 실제 연구를 이끈다. 여기에 세관 직원과 전문가로 꾸려진 자문단이 현장의 목소리를 실시간으로 반영한다.
이날 행사에서 이명구 관세청장은 "검증된 연구진과 함께하는 이번 사업은 관세행정의 디지털 전환을 앞당기고 연구단과 기업이 동반 성장하는 계기가 될 것"이라며, "성과가 국민이 체감할 수 있는 안전한 무역환경으로 이어지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정택렬 과기정통부 공공융합연구정책관은 "첨단기술이 공공행정에도 뿌리내려야 한다"며 "연구개발이 국민 생활과 안전으로 직결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지원할 것"이라고 전했다.
관세행정 2.0 사업은 기술 개발의 범위를 확장해 행정·연구·산업이 긴밀히 연결되는 협력 플랫폼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세관 현장의 혁신이 곧 국민의 안전과 직결되는 만큼, 이번 사업이 한국의 무역 신뢰도를 높이는 중대한 분수령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대전=이한영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