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석 연휴 전후 재활용품 급증에 따른 화재 위험 고조
소방시설 점검·체크리스트 게시로 현장 자율관리 강화
실습형 안전교육과 맞춤형 컨설팅으로 예방문화 확산
추석 연휴가 끝나면 대전 곳곳의 고물상에는 택배 상자, 선물 포장재, 플라스틱 등 가연성 자원이 쏟아져 들어온다.
이 시기는 자칫 작은 불씨 하나가 대형 화재로 번질 수 있는 위험한 시기다. 대전소방본부가 이 같은 상황을 선제적으로 차단하기 위해 고물상 246곳을 대상으로 대대적인 화재예방대책에 나섰다.
이번 대책은 오는 11월 21일까지 약 두 달간 추진된다. 소방본부는 현장에서 바로 활용 가능한 실질적 방안을 내세웠다. 우선 소화기와 감지기 등 주요 소방시설의 작동 상태를 직접 확인하는 안전점검을 강화한다. 또 시설 관계자에게 안전 서한문을 발송해 자율적인 관리 체계 확립을 유도하고, 작업장마다 '화재안전 일일 체크리스트'를 부착해 스스로 위험 요소를 점검하도록 했다.
특히 겨울을 앞두고 전열기구 사용이 늘어날 것을 대비해 '난방기기 안전사용법'과 '초기 화재 대응 요령'을 담은 실습형 교육도 마련했다. 형식적인 교육이 아니라 실제 상황을 가정해 현장에서 대응력을 끌어올리는 방식이다. 여기에 맞춤형 안전컨설팅까지 더해 예방 중심의 관리 문화를 확산시키려 한다.
김문용 대전소방본부장은 "자원순환시설은 화재 위험이 상시 도사리는 공간"이라며 "이번 대책은 단속 위주의 일회성 점검이 아니라, 시설이 스스로 안전을 지켜낼 수 있는 체계를 만드는 데 초점을 맞췄다"고 설명했다. 이어 "고물상 관계자들이 현장에서 느끼는 불안과 어려움을 해소하고, 안전한 작업환경을 유지하도록 적극 지원하겠다"며 "시민 여러분도 주변에서 위험한 상황이 보이면 곧바로 알려 달라"고 당부했다. /대전=이한영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