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 과제 심의 통해 정책 완성도 제고
청년 맞춤형 정신건강 플랫폼 필요성 제기
야간경제 특화 구역 지정·상권 활성화 논의

대전시의회가 지역의 난제를 풀기 위한 정책연구 과제를 다시 한 번 세밀히 들여다봤다. 

▲ 사진 맨 좌측 김용수 정책연구용역 심의위원회 김용수 위원장이 정책연구용역 과제에 대한 2차 사전 심의회를 주재하고 있다
▲ 사진 맨 좌측 김용수 정책연구용역 심의위원회 김용수 위원장이 정책연구용역 과제에 대한 2차 사전 심의회를 주재하고 있다

30일 의회사무처 공감실에서 열린 2차 사전 심의회에서는 의원연구회가 신청한 연구용역 과제의 타당성과 실행 가능성이 중점적으로 검토됐다.

정책연구용역 심의위원회는 대전대학교 김용수 교수를 위원장으로, 시의원 4명과 민간 전문가 5명이 함께 구성됐다. 위원들은 정책 연구의 적정성과 중복 여부, 예산 적합성 등을 꼼꼼히 확인하며 과제가 실질적 성과로 이어질 수 있도록 의견을 보탰다.

이번 심의 대상은 두 가지 연구다. 건강하고 안전한 도시연구회(회장 김민숙 의원)는 '대전형 개인맞춤 정신건강 통합 플랫폼 및 거버넌스 구축'을 제안해, 청년 세대를 비롯한 시민들의 정신건강 문제에 대응할 새로운 시스템과 협력 모델을 제시했다. 도시마케팅연구회(회장 이금선 의원)는 '대전시 신(新)야간경제 활성화를 위한 구역 지역 연구'를 준비해, 해외 사례를 참고한 특화 구역 지정과 지역 상권 재도약 전략을 내놨다.

심의위원들은 용역기관이 밝힌 연구 추진 계획을 청취한 뒤 연구 방법론의 적정성, 활용 범위, 정책 반영 가능성을 집중 논의했다. 특히 두 과제가 연구 보고서에 머물지 않고, 대전의 미래 성장 동력과 시민 삶의 질 향상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구체적이고 실효성 있는 결과물이 나와야 한다는 점을 강조했다.

김민숙 의원은 "시민들의 정신적 안정을 지켜줄 체계는 이제 선택이 아니라 필수"라며 "맞춤형 플랫폼이 마련된다면 위기 상황에 놓인 청년과 시민들에게 든든한 울타리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금선 의원은 "야간경제는 도시 활력과 일자리 창출을 동시에 이끌 수 있는 잠재력이 크다"며 "대전에 맞는 특화 모델을 마련해 지역 상권을 되살리고, 시민이 체감할 수 있는 변화를 만들어가겠다"고 밝혔다. /대전=이한영기자

저작권자 © 충청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