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량점검 15명, 교통순찰 3명
-교통순찰 남 제외 7 개 권역엔 배치 전무

 

 

공공기관 드론 활용이 점차 증가하고 있지만 정작 한국도로공사는 드론교육을 이수한 인력이 부족해 드론을 제대로 활용하지 못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9일 문진석 의원(천안시갑·사진)이 한국도로공사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도로공사는 총 98 대의 드론을 보유한 것에 비해 담당 인력은 18 명에 불과하다.

도로공사는 2종 (7~25kg) 19 대, 3종 (2~7kg) 21대 , 4종 (250g~2kg) 58대 등 총 98 대 드론을 보유해 교량점검 , 교통순찰 등에 활용하고 있다.

반면 드론을 운영할 인원은 교량점검 15명 , 교통순찰 3명 등 총 18 명에 불과하다.

특히 교통순찰 인력은 충남 3명을 제외한 7개 권역에는 배치조차 되어 있지 않았다.

권역별로 보유한 드론 대수와 인력을 비교하면 격차가 더욱 벌어진다.

경북지역은 20대 드론이 배치된 것에 비해 점검 인원은 2명이다.

서울·경기도 19 대 드론 대비 운영인력은 2명이다.

가장 인원이 많은 충남도 드론 11대 대비 운영인력이 5명에 그치는 수준이다.

이에 따라 점검 실적도 저조하다.

2024년 교량점검은 총 120개교에서 이뤄졌는데 경북은 드론대수가 20대인 반면 12개교 검사만 이뤄졌다.

경남은 드론대수 13대 대비 12개교 검사만 이뤄졌다.

드론 대수보다 검사가 적게 이뤄짐에 따라 1년간 운영조차 되지 않은 드론도 상당수일 것으로 추정된다.

또 지난 6월까지 불과 56개교 교량점검만 실시돼 전년보다 저조한 실적을 보이고 있는 등 인력 부족으로 충분한 안전점검이 이뤄지지 않고 있다는 지적이 제기된다.

문 의원은 " 다른 기관과 비교해도 도로공사의 인력, 점검 실적 등이 모두 부실한 수준이다"며 "직원들의 드론 운영 교육을 확대하고 , 드론 활용 실적을 늘려 안전점검을 제고해야 한다 " 고 강조했다. /천안=김병한기자 

저작권자 © 충청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